[학술논문] 한일청구권협정 체결 전후 강제동원 피해의 범위와 보상논리 변화
...이후 한국 내에서 청구권보상이 현실화 된 것은, 일본에서 받은 자금을 사용하기 위해 제정한 「청구권 자금의 운용 및 관리에 관한 법」과 그에 따른 「대일민간청구권 신고에 관한 법」과 「대일민간청구권보상법」이다. 위의 법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청구권’의 성격과 ‘청구권 자금의 성격’에 대하여 규정을 했다. 한국정부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이중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한일청구권협정의 성과를 선전할 때는 ‘청구권’을 식민지 피해 전반에 대한 것으로 해석하고 ‘청구권 자금’은 식민지기 국민이 받은 피해에 대한 보상이라고 했다. 따라서 청구권자금은 개별적 보상이 아닌, 민족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게 독립운동가에 대한 추모사업과 경제개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