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일 이후 북한 체제유지 메커니즘의 작동 체계 연구
...승계기간에도 3대 세습을 이뤘고, 4년차에 접어들어 안정화 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김정은 체제가 장기적 안정성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은 북한 체제가 지닌 한계를 고려해 볼 때 성급한 진단이다. 따라서 북한체제가 유지되는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북한체제가 지닌 구조적 성격과 더불어 체제가 지닌 유지 메커니즘을 검토하는 일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일반체제이론에 입각하여 김정일·김정은 정권이 처한 조건과 체제유지 메커니즘의 작동체계를 검토하고 있다. 김정일 정권은 내적 경제위기와 이로부터 파생된 사회적 위기를 경제적 ‘조정’과 사회적 ‘통제’를 활용하기도 하였지만, 대외적 ‘편승’을 통해 해결해 나가려는 태도가 두드러졌다. 이에 반해...
[학술논문] 복잡계이론을 통한 북한 핵문제 대응방안 연구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등은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안보를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핵실험 등의 행위는 일반적으로 정상국가의 정책적 선택이라기보다는 비정상적인 돌발적 행위로 간주되어 예측할 수 없는 국제정치적 안보 위협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등 이해당사국들은 북한의 도발적인 안보위협 행위에 대하여 유엔을 통한 국제적 제재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강제력의 부재로 인하여 실질적인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북한의 도발적 안보위협 행위에 대하여 현실적인 억제 및 제재력이 부재한 상황에서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와 같은 도발적 위협행위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과 궁극적으로 한반도의 평화를 통한
[학술논문] 북한 권력층의 통치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구조주의 이론에 접목하여-
현대 정치사에 유례없는 3대 권력 세습을 완성한 북한 독재체제는 70여 년 전 정권 설립과 함께 채택한 이념을 고스란히 유지한 채 독재 권력의 동력을 장기화 방향으로 끊임없이 가동시키고 있다. 북한 독재체제의 실상 내지는 구조 등의 분석을 위해 과거로부터 독재체제 이론이나 정치적 구조행위 등을 중심으로 수많은 분석방법이 적용되었지만, 북한 독재체제의 장기화 이유를 권력층, 즉 인적역량에 포커스를 맞추고 구조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권력층의 통치의식을 분석한 사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번 논문에서는 구조주의 시각에서 북한 권력층의 통치의식 형성과정을 분석하면서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박이 가중되는 가운데 만성적인 경제난에 허덕이면서도 김일성 가문을 신격화 하고 소위 ‘주체’와 ‘자주’의...
[학술논문] 권위주의 체제이론으로 본 북한 권력승계 과정과 특징
본 논문은 권위주의 체제이론을 바탕으로 북한의 권력승계 과정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 ‘오랜 기간 동안 북한이 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과 3대 권력세습이 가능했던 이유’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향후 전개될 북한의 권력승계 과정을 예측한다. 본 연구는 먼저 권위주의 체제이론의 검토를 통해 북한 정권의 정치체제에 대해 살펴보고, 권위주의 체제에서 이루어지는 권력승계의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또한북한의 권력승계 과정을 후계자 내정단계, 후계자 공식화 단계, 권력승계 후 안정화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김정일과 김정은의 권력승계 과정을 비교하였다. 이후 권위주의 체제의 권력승계 특징들을 중심으로 북한 정권이 안정적으로 권력승계를 이룰 수 있었던 이유에대해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김정은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