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자 가치관의 이중성과 정체성의 분화
... 탈북 후 제3국, 그리고 한국사회의 사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개개인의 가치관 및 정체성은 그가 속한 사회의 체제와 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기 때문이다.(2장)탈북자는 법적으로 한국 국민이지만, 정서적・문화적으로는 북한에 대한 강한 애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남북사회에 대한 그들의 평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탈북자의 가치관에는 남한을 향한 체제 지향성과 북한을 향한 사회문화적 지향성이 함께 자리 잡고 있었다.(3장)또한 탈북자들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려는 인정투쟁은 같은 민족의 일원임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한국사회로의 강력한 동화 의지, 공적 일에 대한 헌신, 남북 거리두기 및 비판 등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었다.(4장) 끝으로 탈북자들의 북에 대한 애착심은 남한사회에 대한...
[학술논문] 재현 방식으로 본 ‘탈북 언어’ ─ 탈북 작가의 작품집을 중심으로
...‘반디’는 체제 내에서 작품만 국외로 반 출하고, 거대한 수령형상과 왜소한 인민을 대비하면서 결코 전복될 수 없 는 절대자와 인민의 관계를 풍자한다. 반디는 인텔리겐치아의 안정된 직업 군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써 탈북 작가의 작품과는 다른 재현 방식을 보여준다. 현역 북한 작가 리희찬의 소설을 참고하여 ‘탈북 언어’와 체제 지향성 언 어를 비교함으로써 탈북 작가의 소설이 그 현재성을 북한 사회에서 승인받 지 못하는 이유를 추정해본다. 북한식 사실주의 문학의 대주제도 흔들림 없 이 ‘인간’과 ‘현실’이지만 탈북 작가들에 의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점 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그럼으로써 탈북 작가들이 북한 체제에서 높은 가치를 지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