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험인지형 지역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부산, 경남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을 확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치학 내에서의 구조론적 접근방식을 탈피하여 보편적이고 총체적인 통일에의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통일 및 통일교육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을 고찰하고, 교육학으로서의 통일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즉 본 글에서는 정치경제적 변화와 체제통합에 대한 방식으로서 인식되어 온 통일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분단과 통일인식에 대해 개인 삶의 공간과 주변 등 밀접한 영역까지 근접하여 사유될 때 비로소 보편적으로 인식되며, 공감할 수 있을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체험인지형 지역통일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체적 사례로 부산·경남지역 체험인지 통일캠프를 제언하였다.
[학술논문] 일상생활 속에서의 통일문화안보 콘텐츠 재구성: 부산지역의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결합을 통한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일문화안보의 개념을 정립하고 통일문화와 관련한 지역의 다양한 분단, 전쟁 관련 유적지에 대해 스토리텔링을 통한 재구성을 시도한다. 본 글에서는 그 시작으로 부산에 소재한 ‘감천문화마을’을 사례로 살펴본다. 감천문화마을은 한국전쟁의 흔적으로 남겨진 분단의 상징적 지역이지만 현재 통일, 북한, 분단 등의 콘텐츠는 사라지고 새로운 도시재생의 문화지로 거듭난 지역이다. 도시재생의 리모델링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이곳에 잊혀진 분단의 흔적을 문화와 함께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체험인지형 지역통일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체적 사례로 부산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