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영어를 처음으로 배우는 소학교 4학년의 영어교육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초안인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분석하였다. 통일부의 북한자료센터에 입수된 DVD 자료 내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2018년 5~9월에 전반적 구성 체제, 단원 구성 체제, 단원 학습 내용 측면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는 10개의 정규 단원, 5개의 복습 영역, 총복습 영역, 그리고 알파벳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원과 영역별로 ‘수업’ 혹은 ‘련습’으로 지정되어 있다. 둘째, 정규 단원은 4차시 수업을 위한
[학위논문] 북한의 영어교육 동향 분석 : 교육정책, 교수안, 교과서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의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과목으로 여겨지는 영어교육의 현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다양한 북한의 자료들과 영어교과서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 영어교육의 현실과 특징을 파악하여 통일 이후에 안정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교육잡지, 소학교 영어교수안,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교육 관련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영어교육 기사를 분석하여 북한에서 교원들에게 전달하고 현장에서 실행되는 영어교육의 정책 방향과 실태를 분석한다. 둘째, 북한의 소학교 영어교수안을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초등교육단계에서 북한의 영어교육의 현실을 파악한다. 셋째,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