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조 舊 長陵의 위치비정과 석물에 관한 고찰
...남변과 북변에 상당량을 매안했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현재 왕릉의 초장지는 2011년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정조의 건릉을 발굴, 확인한 바 있지만 조선 중기에 해당하는 왕릉은 아직 확인한 바가 없다. 더욱이 능역이 조성된 지 95년이 지난 후 왕과 왕비릉이 쌍릉에서 합장릉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밝힐 수 있는 점에서 인조 구장릉의 발견은 상당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 인조 초장지에는 의인군 묘가 1968년 이장되어 있는 상태다. 다행히 이장할 때 묘가 좌측으로 비켜났고 매장의 깊이를 고려할 때 왕과 왕비의 매장시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어 추후 발굴, 보존 시 의인군의 종중과 긴밀한 협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인조의 초장지 발견의 의미는 첫째 조선 중기 현궁의 조성방식과 石物, 蓮池의 변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