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로(久路) 김영환의 한국 초현실주의 연구
...원산에서부터 이중섭과 사승(師承) 관계를 맺으며 화가로서의 꿈을 키워왔으나, 평생 ‘초현실주의 화풍’에 천착함으로써 한국의 현대미술로서 담론 주류에서 벗어나, 미술계 안팎의 냉담 속에 예술적 성취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74년에야 성사되는 제1회 개인전도 작가의 열정과 규모에 비해 큰 반향을 얻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국내 초현실주의에 대한 조명 및 연구 분위기가 새롭게 조성됨으로써, 김영환의 작품이 대중과 전문가 모두 앞에 소개되어(<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작품의 상당량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초현실주의의 대표 작가로서 김영환의 위상을 정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문의 서론에서...
[학술논문] 김규동 시인 후기 시 연구
...남쪽에서 살아가면서 분단의 아픔과 분단 극복의 의지를 시로 표현하였다. 특히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과 고향에 대한 향수를 감동적으로 그려낸 시편이 많았다. 김규동 시인은 말년에 펴낸 시집 느릅나무에게에서 사상성과 예술성을 잘 조화시켰다. 한 개인의아픔 토로에 그치지 않고 우리 민족의 아픔을 역사의 아픔으로 승화시켰다. 그는 젊은 시절에 모더니즘이나 초현실주의에 경도된 시절이 있었지만 그 사조에머물지 않고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사실주의로 나아갔다. 그러나 과격한 민중 지상주의에 함몰되지 않았다. 그는 분단 극복 문제를 시인으로서의 생의 말년인 15년 동안 줄기차게 다룸으로써 느릅나무에게라는 기념비적인 시집을 완성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부모 형제를 끝끝내 만나지 못하고 소식도 모른채 임종을 맞고...
[학술논문]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술의 분화: 동독, 베트남, 북한 미술의 ‘장’ 비교를 중심으로
...미술과 체제의 어두운 면을 조명하는 작업이 부분적으로 허용되 었다. 베트남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는 식민지 시절 현대화된 래커화를 매개로 발전하였다. 이 양식의 특징 덕분에 작가 개인의 감정을 색채와 구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었다. 통일 이후에는 미술의 ‘장’의 독자성을 확보하려는 움 직임이 있었다. 덕분에 큐비즘과 초현실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화풍이 허용되었다. 하지만 체제의 어두운 면은 조명할 수 없었으며, 주로 당의 노선과 일상생활을 주제로 삼았다. 북한에서는 식민지 시절의 모더니즘 유산은 일부 남아 있었으나, 이는 고유한 미술의 ‘장’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또한 조선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표현적 논의는 있었으나, 정치와 독립적인 예술을 주장할 수 없었다...
[학술논문] 북한의 시각정치적 언어에 나타난 신화적―초현실주의적 리얼리즘 연구
북한은 시각정치적 언어에서 주체사실주의를 표방하고 있으나;그 본질적인 의미에서는 신화적이고 초현실주의적인 특성을 함의하고 있다. 북한의 리얼리즘은 그 내용과 형식면에서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내용면에서는 사실과 환영의 중첩;살아있음과 죽음의 중첩을 드러내는데;엄밀히 말하면 가상적이고 허구적인 환영의 리얼리즘이며 지도자의 초월성을 가시화하는 신화적 리얼리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형식면에서는 묵시적 몽타주 기법과 지도자-인민의 관계를 대인-소인의 신체 재현 기법으로 재현하는 초현실주의적이면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혼합된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소련의 도상과 북한의 도상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서도 북한의 리얼리즘의 특성을 분석한다. 예술의 본질적인 기능은 현실을 초월하는 것인데;이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