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崔대행, 민가 오폭사고 1시간 뒤 보고 받았다
공군 전투기 민간 오폭 사고는 조종사가 표적 좌표 숫자 하나를 잘못 입력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한 사상 초유의 사고에도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사고 발생 39분 뒤, 군 통수권자인 최상목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약 1시간 뒤에 보고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뉴스] 외교부 “최상목·트럼프 통화 및 외교장관 방미 추진”
외교부는 16일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정상을 비롯한 고위급 소통 방안을 두고 미국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향후 북·미 핵협상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고 했다.
[학술논문] 북한의 현금 달러라이제이션 현황과 정상화방안
이 글은 북한의 달러라이제이션을 비정상적인 현금 선호와 외화 선호가 함께 작용하는 현금 달러라이제이션 현상으로 진단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 체제전환국과 개발도상국의 사례, 우리나라의 금융과 외환제도 개혁 경험을 바탕으로 북한의 현금 달러라이제이션을 정상화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 대응 방향과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의 현금 달러라이제이션은 사금융과 함께 공식 금융 시스템 붕괴의 한 단면이면서 화폐의 문제도 함께 작용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점에서 현금 달러라이제이션은 북한의 화폐와 금융 시스템의 정상화를 위해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비정상적인 현금 선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금융 시스템 개혁으로 출발하여 과도한 외화 선호 를 정상화할수 있도록
[학술논문]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의 북한 적용 방안 연구
이 글의 목적은 북한의 금융개혁의 주요 목표로서 금융포용을 제시하는 데 있다. 금융포용에 대한 이론적 논의, 국제기구들의 정책 제안과 주요 개발도상국과 체제전환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금융포용을 효과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동시에 북한의 금융포용 수준을 추정하여 추진 여건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금융개혁 과정에 적용 가능한 금융포용 전략과 주요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제도권 금융시장과 금융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시장화·자유화 중심의 금융개혁 추진은 필요하지만, 많은 개발도상국과 체제전환국들은 이 과정에서 금융 불안과 소득 불평등 악화를 경험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대다수의 개발도상국들은 금융포용을 금융개혁의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추진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