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대북전단과 오물 풍선, 우리가 잊고 있는 것들
북한의 오물 풍선으로 나라가 어지럽고 남북 간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 열흘간 북한 오물 풍선 경보를 알리는 휴대전화의 재난 안전문자가 세 번이나 울렸다. 탈북민 단체가 북한으로 전단을 날려 보내자 북한이 오물 풍선으로 맞섰고, 정부는 다시 이에 맞서 ‘9·19 군사합의서’의 효력을 정지한 데 이어 대북 확성기 방송을 가동했다. 그러자 북한은 “의심할 바 없이 새로운 우리의 대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며 강도를 높인 추가 대응을 경고하고 나섰다. 남북이 상대에 대한 위협수단을 높여가며 출구가 보이지 않는 위험한 치킨게임 양상이다.
[뉴스] https://www.voakorea.com/a/7448828.html
한반도 정세가 심상치 않다.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한국전쟁 이래 최대 위기”라는 진단도 내놓는다. ‘이러다가 전쟁 터지는 것 아닌가’라는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그런데도 남북한 지도자들은 ‘치킨 게임’을 멈추지 않고 있다. ‘전쟁을 먼저 일으키지는 않겠지만 전쟁을 피하지도 않겠다’는 식의 말폭탄과 무력시위를 주고받고 있다.
[학술논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본질, 현상, 그리고 전망: 게임이론을 통해본 북한 핵문제
...대북정책을 게임이론을 통해서 분석한다. 다음으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표명이 있은 이후 북한의 대응을 게임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남북관계의본질, 특히 북한의 정책선택에 핵심요인에 대해서 논의를 제기한다. 즉, 북한의 선택에 대한핵심에 기초하여 북한의 향후 대응에 대한 전망과 우리의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남북한의 협력을 설명하는 죄수의 딜레마게임과 핵무기에 의한 대립을 설명하는 치킨게임을 이용하여 남북한이 직면한 핵문제의 핵심을 설명하였다.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논의의 전개가 새로운 전략으로 설득력이 있는 것 같지만 본질적으로 “화해협력정책” 그리고 “비핵개방 3000”과 동일하게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 기초해있다는...
[학술논문] 한국의 대북정책 분석: 혼선의 원인과 새로운 모델의 탐색
...사안의 존재, 한반도 주변국가들의 목적의 상이성,대북정책 성공-실패 규정하는 잣대의 상이성, 그리고 국제정치 이론에 근거한 다른 대안들의제시 등이다. 이러한 혼선을 축소하기 위하여 남북한 전략적 관계의 단순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세가지의 다른 게임모델을 적용할 수 있다. 남북한간 대칭적 관계를 가정하는 모델로는 죄수들의 딜레마와 치킨 게임이 있다. 죄수들의 딜레마 게임에서는 맞받아치기 전략을 통하여 북한의 협력을 도출하려는 노력을 강구해야 하고, 치킨 게임에서는 남북한간 전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유지와 최소한의 개입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반면에 남북한간 비대칭 관계를 가정하는 모델은 뻥치기 모델이 있다. 이 모델이 적용되면 한국은 대북한 압박전략을 행사해야하고, 북한은 개방협력 정책을 채택해야만...
[학술논문]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Further Approaches for the WMD and Missile Non-proliferation
...Clusewitzian sense with Pyongyang's creating crisis and "menace-for-compensation strategy" as well as "brinkmanship strategy," bearing in mind of a 'zero-sum game' and a 'chicken game' in opposition to Washington, in a process of obtaining the nuclear armed missile. Meanwhile, other pending military issues such as missile and bio-chemical weapons problem in a six-party...
[학술논문] 핵억지 이론을 통해 살펴 본 북한의 핵전략
...핵실험을 강행하며 자신들의 핵능력을 국제사회에 과시한 데 이어, 수차례 중ㆍ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통해 핵투발 수단의 완성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2017년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위력을 크게 뛰어넘는 6차 핵실험과 세차례에 걸친 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성공을 주장하며 미국본토에 대한 타격위협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렇듯 미-북간 핵문제를 두고 이루어졌던 치킨게임도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면서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약소국인 북한이 약 20여 년에 걸친 기간 동안 강대국인 미국을 상대로 핵보유라는 목적 달성을 눈앞에 둘 수 있을까? 그 이면에는 치밀하게 계산된 북한의 ‘핵전략’이 있다. 약소국인 북한은 삼각억지ㆍ최소억지 등 핵전략을 활용해 북한의 핵시설에 대한 미국의 선제타격...
[학술논문] 하노이 정상회담의 협상 전략 분석: 미국과 영국 언론의 보도 내용을 중심으로
...언론 모두 ‘죄수의 딜레마’와 ‘인지적편향성’이라는 협상 이론의 틀에서 보도했다. 우선, 미북 간 뿌리 깊은 불신과 소통의 부재를 주요 이유로 내세웠으며, 또한 트럼프와 김정은의 ‘인지적 편향성’을 미북 협상의 부정적 요인으로 주목했다. 셋째, 문제 해결 방안의 경우, 미국과 영국언론은 치킨 게임의 틀로 제시한다. 미국언론은 미국과 북한의 협상 목표가 서로 평행선을 달리는 경쟁적 구도에 주목하며, 미국의 강성 입장 2)의 당위성을 시사한다. 반면, 영국 언론의 경우, 유럽의 대북 외교정책인 ‘통제된 융통성’을 배경으로, 정상회담에서 막판 절충안의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 논문은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에 관한 보도 내용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