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표현과 치유 - <북한이탈주민의 인문학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인문치료에서의 글쓰기와 말하기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언어 표현과 치유 표현 양상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인문치료의 글쓰기와 말하기 중심의 언어 표현과 표현예술치료의 비언어적 표현을 비교하였고, 표현주의 쓰기이론과 인문치료 글쓰기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치료의 글쓰기를 말하기와 비교하였고 치유의 글쓰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인문치료 말하기의 소통구조를 고찰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글쓰기와 말하기를 통해서 북의 가족과 사람들에 대한 죄책감, 미안함, 그리움, 두려움 등의 감정과 탈북할 때 겪었던 도하의 경험, 가족과의 이별의 아픔, 배고픔, 북에서 보낸 어린 시절의 추억 등을 표현하였고, 감정의 카타르시스, 통찰, 의지와 긍정성, 창조성과 같은 치유와 관련된 표현을 하였다.
[학술논문] 분단 이데올로기와 통일교육
...이데올로기는 가치체계·신념체계의 의미로 쓰이며, 긍정적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구성원에게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행동으로 이끌어 주는 세계관을 뜻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을 유지하는 허의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이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통일 민족국가의 좌절감을 분단 국가에 대한 열망으로 치환함으로써 국민/인민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심리적 차원의 카타르시스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분단 권력에 열광하고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행동적 차원의 동원·동기화의 기능을 한다. 분단 이데올로기는 또한 반공/반제의 강조와 체제경쟁을 통해 국민/인민을 사회적 차원으로 통합하는 기능을 하며, 마지막으로 분단 이데올로기는 지배 권력의 차원에서 보면, 분단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허위의식을 조장하고 은폐·왜곡하는...
[학술논문] <태양 아래>에 나타난 모큐멘터리와 다큐멘터리 프레임의 비판적 고찰
...프레임으로 ‘위장된 관찰-위장된 기록-위장된 전달-위장된 기억’을 토대로 영상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북한의 제작 의도가 모큐멘터리임을 관찰하고 사실을 보여주고자 한 감독의 프레임으로 ‘관찰-비판적 기록–전달’을 토대로 영상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두 가지 프레임을 수용자가 비판적으로 바라본 확장적 프레임으로 ‘비판적 관찰-비판적 수용-비판적 기억-비판적 확장’을 토대로 영상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 주민의 일상에서 축제를 통한 카타르시스가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주민과 공동체에서 교류하고 연대하며 함께 살아가는 일에 도움이 될 공동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학술논문]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국가의 현대시에 투영된 노동의식 비교 연구 - 남한·북한·중국의 탄광시가 지닌 문학치료적 관점을 중심으로
...높은 노동의 고통 등을 주로 다루었다. 북한과 중국의 탄광시에서는 탄광노동현장의 낭만성, 광부 생활의 낙천성, 석탄생산을 향한 애국심 등이 주로 나타났다. 시의 정서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남한의 탄광시가 절망감과 비관적 감정을 드러낼 때, 북한과 중국의 작품에서는 혁명적 낭만성과 낙관적 정서를 드러냈다. 남한의 탄광시가 자기감정의 진솔한 토로를 통해 카타르시스와 시치료의 효과를 얻었다면, 북한과 중국의 탄광시는 광부의 긍지를 부여하는 역할을 했다. 북한의 탄광시에 나타난 관점은 중국의 시세계와 일치하지만, 남한의 시작품과는 반대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도 확인했다. 탄광노동 실상은 남북한이 비슷하지만, 체제의 차이에 따라 시로 표현하는 양상이 크게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이는 개인을 우선하는 자본주의 체제와 노동계급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