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산 둘레길 경관선호도와 이용만족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자연속에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의식 변화로 길은 기능 중심의 ‘걷는 길’에서 목적 중심의 ‘걷고 싶은 길’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성되고 있는 ‘걷고 싶은 길’은 길을 따라 걷는 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긴 선적 공간이라 할 수 있지만, 노선 선정 시 길을 걷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길의 경관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길을 걸으면서 느끼고 지각하는 경관은 ‘걷고 싶은 길’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하나의 목적을 제공할 뿐 아니라, 길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지만, 걷고 싶은 길의 경관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학술논문] SNS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목적지 매력속성에 따른 북한 관광지 추천
... 먼저 빅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TEXTOM이라는 사이트에서 북한관광이라는 단어에 대해 2019년 0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약 1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 수집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 정제 및 형태소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선행연구의 관광지 매력속성에 포함되는 단어들을 바탕으로 안전성, 환대 및 서비스성, 쾌적성, 교통 등의 접근의 용이성, 숙박 및 식사 등의 제반 시설, 비용성 등으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관광목적지 매력속성을 안전성, 심미성, 체험성, 경제성, 편의성으로 총 5가지로 분류한다. 추가적으로 일반 사람들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수도권의 집중 정착 단지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북한이탈주민의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고;북한이탈주민이 이주민으로서 선택하는 문화적응전략이 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사용했다. 그 결과;공원;산책로와 같은 야외시설의 이용;지역 내에서 남북주민이 함께하는 단체활동의 참여;길찾기쉬운구조 및 쾌적성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지;거주하는 주택의 내부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지역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남한의 문화를 수용하는 통합의 문화적응전략을 취하는 것이;주거환경과 지역공동체의식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를 통해;북한이탈주민의 지역공동체 형성을 위해서...
[학술논문] BRT 시설 및 운영에 관한 이용자의 중요도 만족도 평가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RT 서비스 평가 항목 외에 현재 BRT에 대한 문제요인을 항목으로 추가하여 BRT 시설 및 운영에 대해 IPA를 이용하여 중요도·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BRT에 대한 의식과 주 교통수단에 따라 그룹을 구분하여 그룹 간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BRT에 대해 긍정적이면서 버스 이용자 그룹은 버스의 쾌적성, 무단횡단단속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부정적이면서 승용차 이용자 그룹은 BRT 버스의 차로변경, 승용차통행속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앞서 차이를 나타낸 그룹을 다차원척도법 중 MDPREF법을 활용하여 면밀히 살펴본 결과 평가항목과 교통수단 별 이용자 그룹 응답자의 개인속성 간의 평가방향이 잘 나타났으며, 평가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부합정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