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아스포라적 관점에서 본 북한-총련-일본 관계 연구
...비해 동포사회에서 총련의 위상과 영향력이 추락하고 탈민족화 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큰 틀에서의 북한-총련-일본과의 관계 변화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변수는 민족교육지원 차원의 총련의 북한원조,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에 의한 총련의 위기의식 고조로 대변된다. 결론적으로 글로벌시대 총련은 형성과정과 단체의 특수성을 감안할 때 탈민족화와 탈경계화의 격랑에 휩싸여 ‘조국지향’과 ‘민족이탈’이라는 중간지대의 디아스포라적 상황에 처해있다. 1945년 해방 이후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줄곧 디아스포라적 위치에 천착해 온 총련에 대한 한국정부의 특별한 관심과 재외동포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다소 소홀했던 총련과 북한(북한-총련-일본)과의...
[학술논문] 햇볕정책(1998-2008)이 남북한 접경지역 변화에 미친 영향 : 문화지리학적 관점에서
... 청원군 등)은 주목할 만한 지역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는 거주민의 삶과 인식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남북관계의 가시적인 개선과 결실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등)은 비록 제한적이지만 실제로 '국경 넘기'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는 기존의 경계선을 조금씩이나마 열리게 하는 이른바 ‘탈경계화’ (de-bordering)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결국, 접경지역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2008년 이후 햇볕정책의 종식은 ‘성공' 혹은 '실패'라는 단순 이원적인 판단보다는 '탈경계화’ 후에 나타나는 ‘재경계화’, 즉 국경이 점차 폐쇄되는 과정이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 상황의 이해를 위한 문화인류학적 고찰
...그리고 탈경계화, 그 다음에는 새로운 경계의 설정 등으로 변이하는 것이다. 독일 통일도 이와 같은 과정을 겪었음을 자료들을 인용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는데, 초기 통일 직후의 탈경계의 단계에서는 환희와 흥분의 단계였지만 혼돈과 갈등의 발생하면서 신경계의 단계로 이동하게 됨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최근 통일 완성의 단계에서는 새로운 통합의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동서독 간의 경계 상에 있는 Kella라는 마을의 문화기술적인 연구 사례를 참조하여 장차 한국 통일 상황에 대한 단서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한반도 통일 상황에 대한 단계별 예측을 다음과 같이 시도하였다. 1) 구경계화 단계: 통일 전 단계로서 남북한 간의 여러 차원에서의 뚜렷한 경계화의 상태이다. 2) 탈경계화 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