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여성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연구 - 외상경험의 조절효과 -
...탈북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탈북과정의 외상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빈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인 탈북여성 중 48.5%가 우울증상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남한 내에서 경제적 어려움, 건강 및 부부관계의 어려움에서 오는 스트레스 사건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 검증 결과, 생활사건 스트레스는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탈북과정 외상경험 유무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남한 이주 후 스트레스 사건들과 탈북과정의 외상사건 경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탈북여성의 경우, 우울의 정도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PTSD)와 디스트레스(Distress)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분석결과는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양상은 저PTSD/저DISTRESS, 중PTSD/중DISTRESS, 고PTSD/고DISTRESS 집단의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이 북한 및 탈북과정에서 외상 사건 경험 빈도가 높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와 디스트레스 공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북한 및 탈북과정에서의 외상 사건 노출 빈도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사회에서 학력을 취득하는 수준이 높고, 결혼을 하는 것이 보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의 잠재프로파일 양상과 영향요인에 따른 사회심리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