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자의 미디어 등장과 ‘북한정보’ 흐름의 변화 - ‘통제’에서 ‘경쟁’으로
...정보교류 지형에 변화를 가져 오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남한의 소식을 이미 다양한 경로로 접하고 있으며 장마당 경제체제로 전환하면서 상품과 정보를 교환하는 장이 등장했다. 아울러 국내 미디어 산업의 빅뱅은 모든 부문에서 경쟁을 가열시켜 연예오락은 물론 시사 보도물도 경쟁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2011년 말 출범한 종합편성채널들은 모기업이 신문사인 관계로 정보 시장에서 경쟁은 치열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종합편성채널들이 북한 내부의 크고 작은 사건에 대한 소식을 탈북자들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종합편성채널들의 프로그램에 등장한 탈북자들의 발언내용을 근거이론방법(GTM: Grounded Theory Method)으로 분석해 탈북자들이 강조한 유목들을 도출했다. 그 결과, 정보, 판단, 의지, 비교...
[학술논문] 탈북 사건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 언론 보도에 의한 <탈북 루트>의 해체 과정을 중심으로
...블랙박스로 결절(punctualization)된 북한 관련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는 다시 카메라라고 하는 부동의 동체(immutable mobiles)를 동원시키며, 기존에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던 탈북루트의 행위자-네트워크에 이것이 또 다른 행위자로 개입함에 따라, 탈북루트 네트워크의 급속한 붕괴가 일어나게 된다. 이는 다시 말해 카메라의 시선 권력이 중심적 행위자로 구축된 남한 언론이라는 블랙박스가 탈북 사건에 개입하면서, 애초에 의도했던 북한 인권 보호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만들어 낼 수밖에 없었던 사건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탈북 사건의 보도라는, 말하자면 한 주권에서 벗어나게 된 생명에 대한 다른 주권의 언론 보도라는 특수한 형태의 취재 보도 과정이, 저널리스트 개인의 선한 의도가 발휘될 여지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국가보안법위반 사례 연구 - 언론보도와 판례를 중심으로 -
...북한이탈주민의 국가보안법위반 사례를 언론보도와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탈북일가족 납북 사건’에서 북한이탈주민이 북한에서 저지른 범죄에 대해 남한 법원에서 유죄판결을 받은 사례를 확인하였다. ‘서울시 공무원 간첩 사건’을 통해 국가정보원의 북한이탈주민 조사과정에서 형사법위반과 인권침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이후 국가정보원의 북한이탈주민 조사과정은 조사기간 단축, 인권보호관제도 등 인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단체 대표 암살 기도 사건’ 등을 통해 북한당국의 북한이탈주민 위협 사례를 확인하였고, ‘북한이탈주민 재입북 시도 사건’ 등을 통해 국내 북한이탈주민의...
[학술논문]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지난 23년간 ‘북한이탈주민’을 어떻게 보았는가? : ‘북한이탈주민’, ‘탈북민’, ‘새터민’ 관련 언론 보도 빅데이터 분석
...가장 부정적이었고, 최근에는 ‘북한이탈주민’의 표현이 긍정적이고 일반적인 호칭이었다. 긍부정 방향성은 ‘탈북민’와 ‘새터민’은 긍정적 기사들이 부정적 기사들에 비해 지난 20년간 높은 빈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 관련 기사의 감성어와 중요한 남북관계 사건들의 시간적인 관계성을 보면, 큰 긍·부정 남북문제 사건이 발생하여 북한에 관심이 증가될수록 남한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낮아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이는 속칭 ‘언론 내 북한과 북한이탈주민의 대립적 관심 관점(북한 ↔ 북한이탈주민)’으로 표현된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별로 보면, 대북우호성향 정부의 언론 정서성 관점은 ‘북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