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이 연구는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분단은 고착화하여 하나의 체제, 즉 분단체제가 되었다. 분단체제는 남북한에 분단국가를 형성하였으며, 분단국가는 국민들을 분단에 순응하게 만들어왔다. 그러나 최근의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의 가시화는 탈분단체제의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통일교육은 아직도 안보교육, 체제우월성교육, 주입식·일방적 교육, 남한중심의 동질화논리, 분단극복에의 관심부족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단체제의 극복을 중심에 두는 교육이다. 둘째, 분단에 대한 성찰과 분단고통에 공감하는 교육이다. 셋째, 고통과 상처를 치유하는...
[학술논문] 한국전쟁과 천주교 반공주의 : 역사적 변동과 비판적 성찰
...분단체제의 공고화에 기여하는 것이었다. 1980년대 말부터 한국교회는 ‘종교화된 반공주의’와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에 이르러 한국교회는 ‘분단-대결 패러다임’에서 ‘탈분단-평화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사실상 완료했다. 이것은 평화주의적 전환(pacifist turn)이자 탈분단체제로의 전환이었다. 그 결과 고령 신자들을 중심으로 반공주의적 정서는 남아 있을지라도 한국교회 안에서 반공주의의 종교적 색채는 거의 사라졌다. 물론 교회 내 극우단체의 활동, 한국전쟁 당시 살해되거나 납치당한 교회 지도자들의 유해송환운동이나 시복운동 등은 ‘공격적인 종교적 반공주의’를 되살려낼 요인으로 작용할 잠재력을 여전히 지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