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까운 미래’에 관한 탐구와 사산된 문학적 가능성 - 복거일의 『파란 달 아래』를 중심으로 -
	                                  ...욕망으로 인해 과학소설로서의 문학적 가능성을 사산시켰다는 점에서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텍스트를 관통하고 있는 키워드는 테크놀로지이다. 테크놀로지는 인종 문제나 국가의 경계가 무의미한 낯선 공간들과 테크놀로지적 타자를 탄생시킨다. 『파란 달 아래』의 테크놀로지적 타자는 월인(月人)이 바라보는 지구인이자 휴머노이드이다. 리명순은 인간보다 더 인간답게 보이는 로봇에게 감탄과 두려움이라는 양가적 감정을 느낀다. 이는 감탄에 가려진 언캐니한 것으로 인간이 자기 정체성을 확신할 수 없을 때 느끼는 감정이며 로봇에 의해 인간이 타자화되는 전도된 구도에서 비롯되는 공포의 다른 이름이다. 연방 정부를 수립한 남북한이 각자 건설한 두 개의 월면 기지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통일 후에 벌어질 일들에 대해 일상적 차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