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통신대학의 역사: 회귀의 반복과 이중적 통치성
...푸코의 통치성 개념에 기반하여 북한 통신대학의 제도적 전개와 반복적 회귀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1948년 도입된 통신대학은 노동자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명목 아래 운영되어 왔으나, 자율적 학습이라는 표면적 형식과 달리 반복적으로 ‘현지학습반’ 체제로 회귀하는 양태를 보인다. 기술-사회 적정성이 낮은 맥락에서 통신대학이 보이는 회귀는 제도 실패의 결과라기보다, 통치력 유지를 위한 전략적 조정으로 기능하는 측면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권위주의 체제인 중국과 비교했을 때 북한의 통신대학은 통치성의 이중구도가 매우 확연하게 드러났으며, 자율적 주체에 대한 논의는 매우 소략한 반면 노동자-학생 통제가 노골적으로 강조되는 양상이다. 이처럼 통신대학의 외피는 학습자 자율에 주목하는...
[학술논문] 천리마시대 속도와 '노인' 담론 (1) ― 『천리마』의 연재만화 <천리마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북한이 어떻게 대상화하였는지 <천리마 할아버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천리마 할아버지’는 농촌 중산층 대가족의 가부장이자 마을의 어른으로 노인 특유의 부지런함과 지혜를 활용해 노동시간과 노동현장의 틈을 메우며 마을사람들의 공경을 받았다. 증산경쟁과 시기단축의 과열을 보충하는 존재였던 이 노인은 2년여의 휴재 후 통신대학을 졸업하고 마을로 복귀하면서 모습이 달라진다. 독서와 기악합주 등의 교양을 갖추고 청년돌격대 못지않은 기력과 기술력을 선보이며 천리마기수 전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변신한 것이다. 마침내 노인의 마을이 천리마 작업반으로 선정되어 표창을 받고 이후 <천리마 할아버지>는 체제정당성을 입증하고 수상 교시를 전파하는 전형성에 고착되며 주체시대를 맞이한다...
[학술논문] 북한 통신대학 영어교과서 어휘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This paper uses corpus linguistics to examine reading passages of an English textbook used in North Korean correspondence universities. The English textbook was compiled into corpora and processed using Antconc and The Complete Lexical Tutor. From the corpus, high-frequency content terms and a keyword list were extracted and compared to the BNC reference corpora. Additionally, the corpus was categ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