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구이주민들: 영락교회에서 보편적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한 다양성의 수용
...공동체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본 논문은 연구자가 박사학위 논문 중에서 일부를 재편집하여 논문의핵심을 이해하도록 한 것이기에 논의의 많은 내용은 지면상 다루지 못했음을 밝힌다. 본 논문은 두 공동체가 각각 반공사상과 주체사상으로 사회화된 시작과 과정, 그리고 그것이 민족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와두 공동체가 서로 교회에서 만났을 때 어떤 배타현상이 나타났는가를 사회인류학적 접근을 통해서 밝힌다. 그리고 이어서 서로 다르게 형성된 민족정체성을 갖게 된 공동체들이 서로를 존중하는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가를 신학적 접근으로 다룬다. 결론적으로 두 공동체가 통일 공동체로 곧바로 가는 것이 아니라 중간 단계로 통이(統異) 공동체의 과정을 통해서 통일(統一) 공동체의 형성으로 가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학위논문] 탈북민 목회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 : Mandelbaum 분석방법론 적용
본 연구는 탈북민 목회자 생애사 분석을 통한 복음 수용성 연구와 이에 근거한 선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복음수용을 생애사로 연구한 것은 복음수용은 일회적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의 관념이나 2차 문헌이나 기존의 변수가 아닌 연구참여자들의 생생한 삶의 이야기 속에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멘델바움 생애사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루이스 람보의 회심 이론을 접목하여 이론과 방법론의 통합에도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에는 5명의 탈북민 목회자들이 참여했다. 본 연구자는 반구조화 된 개방형 질문과 눈덩이 표집(snowball sampling) 방법으로 연구참여자를 선정했다. 심층 인터뷰는 참여자 1인당 5시간 일대일로 참여자들이 섬기는 교회에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구성한 생애사
[학술논문] 대학 통일교육의 의미와 정책적 지향점
...이들의 세대적 특성을 반영하여 개인적;일상적 접근으로의 방향성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20대 대학생들을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지향점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평화의 관점에 기반한 통일교육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남북 간 소통의 새로운 가치로서 ‘통일(統一)’보다는 ‘통이(通異)’를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개인적·일상적 접근으로 통일을 인식하고 향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20대의 세대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다만 이 글에서 제안하는 20대 대학생들을 위한 통일교육의 지향점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현행 「통일교육지원법」을 개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적으로는 20대 대학생들...
[학술논문] 니클라스 루만의 의미론 개념으로 본 동서독 스포츠 교류와 독일 통일의 관련성
이 논문의 목적은 동서독 스포츠 교류와 독일 통일의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니클라스 루만의 소통 개념에 근거한 의미론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 통일의 동력은 통일을 위해 노력한 동독 주민들에게서 나왔다. 둘째, 동독 주민들이 통일을 위해 노력하게 만든 것은 그들의 의식에 각인된 희망적 통일의미론이며, 희망적 통일의미론은 40년 이상 지속된 동서독교류를 통해 응축되고, 의식에 각인된 것이다. 셋째, 스포츠 교류는 독일 통일에 방해가 되기도 했고, 도움이 되기도 했다. 그것이 독일 통일에 방해가 된 이유는 정치적 의미처리에 치중함으로써 동독 정권의 유지에 유리한 의미론을 응축시켰기 때문이며, 도움이 된 이유는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