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통일교육 발전을 위한 모색- 대학생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 고찰
...갖도록 정책적인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통일교육의 외연을 넓혀 인문교양교육으로의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강조하였다. 역사교육, 평화교육, 다문화교육, 인권교육, 인문학 교육, 리더십교육과 같은 교양교육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통일교육의 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평생교육의 측면으로 연속성을 갖고 대학통일교육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장기적인 로드맵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과 시민사회가 연계하여 통일교육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대학통일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을 제안하였다. 대학통일교육의 동반자로서 시민사회를 활용하여 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통일의식을 확산하는데 다양한 구성원간의 교집합을 넓혀가도록 대학통일교육이 의미 있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지역통일교육 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 전북지역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통일교육 거버넌스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전북지역 중․고등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하고 유․초등 지도교사 FGI를 통해 유․초등학생들의 통일의식을 진단하였다. 조사결과 아동 및 청소년들의 통일의식이 희박하고 북한에 대한 관용적 태도도 상당 수준 미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통일시대의 주역이 될 현재의 아동 및 청소년들이 통일에 대해 무관심하고 의식도 미약하다면 장차 남북 구성원 간 화학적 결합에 많은 어려움이 초래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통일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원만한 남북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학교통일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행 지역통일교육 거버넌스 체제 안에서는 학교통일교육에 대한 고려가 효과적으로...
[학술논문] 통일교육의 지방화와 지역 통일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 - 제주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논의의 공론화와 통일 역량의 강화를 목표로 해 온 통일교육의 역할과 필요성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 글의 목적은 통일교육이 풀뿌리 수준으로 확산되는 통일교육의 지방화를 위한 지역 통일교육체계의 거버넌스화를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통일교육 관련 민·관 협의체를 구축·운영하면서 통일교육 거버넌스 구축에 주력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교육 거버넌스의 실체는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지역 통일교육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 ‘제주’라는 지역 단위에서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통일교육 사례를 거버넌스의 맥락에서 접근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 사례의 경험을 바탕으로 지역 통일교육 거버넌스 체계의 필요성과 구축 및 운영방안을 모색한다.
[학술논문]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
...공무원 등에 대한 통일교육 실시(제6조의7) 등에 대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한 것은 주목할 만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교육지원법」에는 일부 임의규정의 성격이 있고, 통일교육의 활성화 차원에서 개정되어야 할 사항이 잔존하고 있다. 이 연구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통일교육 방안에 대한 법적 측면 내지 법적 개정사항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통일교육에 대한 예산부족의 문제, 사회통일교육 수강생 모집의 문제, 중앙정부(통일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입법형태 내지 입법기능 측면, 통일교육 업무 추진체계의 측면, 통일교육 운영이란 세 가지 측면에서 통일교육지원법의 개정방향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통일교육지원법」의 입법자는 통일교육을 통일이전의 한시법으로...
[학위논문] 사회통일교육의 변천과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transitions of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and governance thereof, and seeking direction for new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governance necessary for the modified awareness of unification and social phenomena following inter-Korean summit talks in 2000. Social unification education not only for sch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