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관계
...남북화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7.4남북공동성명에 충격을 받았으며 이 성명의 3대 통일원칙 중에서 자주의 원칙과 민족대단결의 원칙을 경계하였다. 교회의 통일운동을 자극한 것은 1981년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대화(‘조국통일에 관한 북과 해외동포, 기독자간의 대화’)였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회원교단들은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대화에 반대하면서도 이 대화 및 도잔소협의회의 영향으로 1980년대에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통일대화에 나섰으며, 그 과정에서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1988)을 발표하였다. 이 선언에서 비로소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회원교단들은 7.4남북공동성명을 수용했다. 남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학술논문] 분단 70년, 북한 기독교의 이해
지난 70년 동안 북한 기독교는 조선그리스도교련맹, 가정교회, 봉수교회, 지하교회의 형태로 재편과 변형을 거쳐 왔다.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공인교회가 북한정부의 종교이용과 간섭으로 만들어진 재편된 형태의 기독교에 속한다면, 가정교회와 지하교회는 종교탄압 환경에서 생긴 전통적 기독교의 변형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 기독교를 이해하려면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교회들이 어떤 환경과 동기에서 재편되거나 변형되어 왔는가를 찾아볼 필요가 있다. 조선그리스도교련맹과 교회들의 결성과 건립 동기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것들에 대한 남한교회의 오래된 부정적 인식 때문이다. 남한의 연구자들과 교회 지도자들은 종교기구로서의 조선그리스도교련맹, 봉수교회, 장충성당의 종교적 아이덴티티를 부인하고 그것들을 위장 종교집단, 가짜교회, 대남적화통일을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인간중심철학의 대두을 중심으로
...7·4남북공동성명 발표 이후 해외에서부터 종교인들과의 접촉을 시도하여 실제로 80년대 이후에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게 되었고, 특히 9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이에 적용되었던 이념적 제약도 상당히 완화되어 그 폭을 넓혀 나갔다. 주체사상을 매개로 한 인본주의적 요소의 도입이 종교에 대한 이해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언급으로 감지되기 시작한 것은 1981년의 제1차 통일대화에서부터였다. 북한 종교인들은 주체사상이 ‘사람을 중심으로 하는 인간사랑의 이념’이라는 인본주의적 해석을 앞세우며 북한 사회주의체제 하에서 북한 종교인들이 공산주의자들과 함께 사회주의 건설과 조국통일을 위하여 함께 걸어갈 수 있는 근거로서 북의 공산주의자들과 남의 기독교인 사이에 공통적 이념적 기초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사회주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