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과 통일과정에서의 역할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정착과정과남북관계변화 그리고 미래 통일과정에서 이들의 역할과 가치 등에 관한 것이다. 1992년 한중수교를 계기로 중국재외동포인 조선족은 한국으로의 유입이 급증하여 중국 조선족 사회가 점점 와해되는 현상을 보이면서 한국거주조선족은 약 80만 명에 이르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 제1차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매년 1,000명 이상 한국행을 선택하여 현재 약 3만명이정착해 살고 있다. 조선족과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사회 정착과정에서 다문화와 한민족의 관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민족적 공통점과문화차이에 따른 이질감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시대의 한국사회는 다문화가정의 증가추세에서 이주민에 대한 정부정책과 관·민·학
[학술논문] 편향 극복과 성찰을 위한 뉴미디어 리터러시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 초등 통일인성교육 방안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차별은 통일 동력 형성에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진정한 통일을 위해 요구되는 핵심 요소는 사람의 통합이기에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이 가정, 사회, 미디어 환경에서 형성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향을 극복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뉴미디어 환경에서 편향 극복 방안 가운데 하나는 뉴미디어 문해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뉴미디어 리터러시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인지하고 타인을 존중하게 한다는 점에서 올바른 인성교육과도 밀접하다. 미디어 탐정 프로그램(Media Detective Program, MD Program), 씨네 리터러시(Cine Literacy)를 변용하여 초등학교 통일교육에 뉴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적용할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향 극복을 위한 뉴미디어 리터러시 초등 통일인성교육은...
[학술논문]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로서의 민주주의 연구
...국민이 궁극적으로는 통일을 바라고 있는 것이 현실임을 부인할 수는 없고, 무엇보다 대한민국 헌법은 통일을 가장 중요한 국가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외면할 수도 없다. 그렇다면 우리가 추구하는 통일의 규범적 토대로서의 통일헌법의 기본원리는 무엇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현 시점에서 다시금 되물어볼 필요가 있다. 이제는 민족의 동질성 회복차원에서, 그리고 통일의 동력을 구하는 의미에서 민족주의와 더불어, 통일국가의 조직과 사회통합을 위한 보편적인 헌법원리로서의 민주주의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일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밖에 없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원리, 특히 자유민주적 기본질서가 원리로서나 현실의 적용에 있어서 완전한 민주주의에 도달했다고 볼 수 있는가는 아직까지는 회의적이다. 특히...
[학술논문] 니클라스 루만의 의미론 개념으로 본 동서독 스포츠 교류와 독일 통일의 관련성
이 논문의 목적은 동서독 스포츠 교류와 독일 통일의 관련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니클라스 루만의 소통 개념에 근거한 의미론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일 통일의 동력은 통일을 위해 노력한 동독 주민들에게서 나왔다. 둘째, 동독 주민들이 통일을 위해 노력하게 만든 것은 그들의 의식에 각인된 희망적 통일의미론이며, 희망적 통일의미론은 40년 이상 지속된 동서독교류를 통해 응축되고, 의식에 각인된 것이다. 셋째, 스포츠 교류는 독일 통일에 방해가 되기도 했고, 도움이 되기도 했다. 그것이 독일 통일에 방해가 된 이유는 정치적 의미처리에 치중함으로써 동독 정권의 유지에 유리한 의미론을 응축시켰기 때문이며, 도움이 된 이유는 경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