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보도, 평가, 사회심리적 변인이 통일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통일세금 납부의도, 햇볕정책/평화통일지지 정당 및 후보에 대한 투표의도를 중심으로
이 연구는 통일보도(북한이나 통일 관련 뉴스)에 대한 이용(노출)량(지상파 방송, 신문, 인터넷, 종합편성채널)과 통일 뉴스의 구성요건(객관성, 시의성, 선호도, 공정성), 그리고 통일에 대한 인식(통일 긍정 인식, 기간적 거리감, 정부 통일 정책 만족도)이 통일 관련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일보도(북한이나 통일 관련 뉴스) 이용(노출)량은 인터넷, 지상파 방송, 종합편성채널, 신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용자들의 통일보도 이용(노출)량과 뉴스 구성요건의 평가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통일세금 납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터넷 이용(노출)량,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정부 정책에 대한 만족도, 통일지지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이었다...
[학술논문] 미디어의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 개발 연구
우리 사회 주요 미디어들이 생산하는 통일 담론은 양적·질적 한계를 노정하고있으며, 이념적으로 분열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 연구에서는 향후 미디어의 통일 관련 역할을 제고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미디어 평화통일 지향성 지수의 개발 작업을 시도한다. 우선 기존 저널리즘 평가 기준과 북한 관련 보도준칙들을 재구성하여 평화통일 가치 추구, 남북 상호 존중, 보도 정확성·신뢰성추구, 보도 독창성·심층성 추구 등 네 가지 차원의 평가 항목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주요 언론사들의 북한 및 통일 관련 뉴스들에 시안적으로 적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각 항목들의 의미를 검증하고 구체적인 지수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복잡다단한 미디어 생태계를 통해 유통되고 있는 북한 및 통일 관련 콘텐츠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