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연방국가 연구: 연방수도 입지선정 및 건설을 중심으로
... 철원, 강화군 양사면과 황해북도 개풍군 또는 강화군 교동면(교동도)과 황해남도 연안군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래서 분석한 결과 철원 및 강화군과 북한 개풍군, 진안군을 제외한 지역은 남한에 의한 북한을 무력통일, 흡수통일을 달성한 경우 또는 북한에 의한 남한을 무력통일, 흡수통일을 이룩한 경우가 아니면 제일 중요한 정치적 합리성을 확보할 수 없어 통일연방국가의 수도로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수도형태로 일극집중형 보다 다극분산형으로 건설하는 것이 정치적 합리성과 국토균형발전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제1단계 연합형 연방국가 수도를 강화군에 행정부, 황해북도 개풍군 또는 황해남도 연안군에 입법부, 철원에 사법부와 3군사관학교 등을 유치하면 정치적 합리성, 국토균형발전 합리성...
[학술논문] 통일연방국가 : 연합형연방국가의 권한과 예산(재정)확보 방안
민족재통일은 한민족의 미래와 비전을 업데이트시키기 위해 포기할 수 없는 한민족의 필수적 과제이다. 통일의 방법으로 무력통일, 흡수통일, 평화공존통일이 있다. 이 연구는 통일의 방법으로 평화공존통일, 통일국가 형태로 3대원리(연방국가주의, 권력분립주의, 법치주의)와 5대원칙(단계적 통일원칙, 중도적 통일원칙, 실용주의적 통일원칙, 다양성 수용원칙, 통합의 원칙)에 입각한 단계적 연방국가를 염두에 두고 연구한 연구물이다. 편의상 제1단계 연합형연방제, 제2단계 연방제,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로 구분하고 연구했다. 통일국가를 건설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연합형연방국가 권한과 재정(예산)확보는 필수적 요소이다. 외국 예산확보 사례로 유럽연합, 중국, 북한 등을 살펴보았다. 유럽연합이 한반도 통일에 주는 시사점으로 제1단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