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및 남북관계사 서술의 특징-북한사 비판주의, 남북관계의 남한 주도성, 통일운동사・통일논의의 부재를 중심으로-
...경우, 남북 상호작용에 의한 원인보다 주로 남한 정부의 노력에 의한 결과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긍정적 의미 부여가 가능한 남북대화의 성과, 즉 역대 남북간의 주요 합의를 중심으로 한 서술 패턴이 고정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의 진퇴 양상과 그 이유 등에 대한 종합적, 입체적 서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9종 교과서 모두 민간 차원의 통일운동사와 시대별 통일논의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분단 극복을 위해 그동안 정부 당국과 민간 차원에서 함께 노력하고 상호 경쟁, 보완해온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특징들을 고려할 때,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출판사별 특성의 차이는 미미한 정도로 판단되며, 오히려 향후 교과서 검정제도의 현실적 의의에...
[학술논문]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및 남북관계사 서술의 특징-북한사 비판주의, 남북관계의 남한 주도성, 통일운동사・통일논의의 부재를 중심으로-
...경우, 남북 상호작용에 의한 원인보다 주로 남한 정부의 노력에 의한 결과라는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긍정적 의미 부여가 가능한 남북대화의 성과, 즉 역대 남북간의 주요 합의를 중심으로 한 서술 패턴이 고정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관계의 진퇴 양상과 그 이유 등에 대한 종합적, 입체적 서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9종 교과서 모두 민간 차원의 통일운동사와 시대별 통일논의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다. 분단 극복을 위해 그동안 정부 당국과 민간 차원에서 함께 노력하고 상호 경쟁, 보완해온 역사적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서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특징들을 고려할 때,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출판사별 특성의 차이는 미미한 정도로 판단되며, 오히려 향후 교과서 검정제도의 현실적 의의에...
[학술논문]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
...공동체를 형성해 나가는 교육이다. 다섯째, 남북의 이념과 체제, 가치와 규범을 변증법적으로 결합해 나가는 교육이다. 이를 위한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체계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은 분단의 이해, 성찰과 극복, 새로운 통합을 위한 교육이며, 이는 분단이해교육, 분단극복교육, 통일통합교육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둘째, 탈분단체제를 위한 통일교육의 교육내용은 분단의 이해와 분단의 치유 및 해체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셋째, 탈분단 시대 통일교육은 국가와 민족의 분단사와 개인, 지역, 생애사의 분단사가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함께 구성된다. 넷째, 분단으로 인해 왜곡된 독립운동사와 통일운동사를 복원하고 새롭게 형성하는 민족사의 새로운 형성, 민족 공동체의 새로운 형성교육으로 구성된다.
[학술논문]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통일운동 고찰
...언론 보도자료, 주요학술검색사이트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내용은 최근의 한반도 주변정세와 통일운동의 역사를 통해 지역사회의 역할을 고찰함으로써 통일운동이 나가야 할 길에 대해 정책적 제언을 하는 것이다. 결론 및 제언: 결론 및 제언으로 첫째, 국내외 안보환경의 급변이 통일운동에 위기를 초래하였음을 밝혔다. 둘째, 통일운동 주체로서 정부주도의 통일정책에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통일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함을 밝혔다. 셋째, 역대정권의 통일운동사 고찰을 통해 통일운동의 문제점과 향후 추진방향을 제시하였다. 넷째, 지역사회에서 추진해온 통일운동의 현실태 분석을 통해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함을 밝혔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통일운동 연구가 미흡한 가운데 실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