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靑丘』와 재일코리안의 자기정체성 - 문학텍스트를 중심으로 -
...주류/중심사회의 시선을 짚었다. 정리해 보면 『靑丘』에서는 한국의 역사/전통의식과 양국의 역사적 교류지점을 통해 재일코리언의 아이덴티티를 분명히 하고자 했고, 제국일본의 모순/부조리를 학문적으로 들춰내며조명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靑丘』에서는 재일코리안의 실질적인 ‘가교’역, 재일코리언 사회의 현재적 지점에 대한 검토와 해결책 모색, 통일조국의 실현을 위한 목소리, 탈경계적 문학/예술의 소통 차원의 코리안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조명, <제주도4·3사건>에 대한 학문적인 접근을 보여주었다. 또한 『靑丘』에서는 다양한 장르의 단행본 소개, 양국 지식인/학자들의 대담·좌담·정담을 통해 한일관계, 남북문제, 재일코리언 사회의 현실적인 문제를 풀어내고자...
[학술논문]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철학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자유’라고 하는 가치이다. 자유를 빼고 통일교육은 성립하기 힘들고 존립하기도 어렵다. 즉,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통일교육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자유와 통일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골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교육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가 지니는 의미와 그 성격을 면밀히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은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본원적인 연구의 출발점을 이룬다고 하겠다.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해서 분석해보면 우선 자유는 통일교육의 기초이자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자유가 기초되지 않는 통일교육은
[학위논문] 허헌연구 : 북한정권 수립과정에서의 허헌의 역할
...신임은 그가 직접 그의 시체가 든 관을 직접 메고 안장하였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이처럼, 허헌은 북한 사회에서 최고의 위치에서 대접을 받고 1951년 9월 7일 평양 모란봉 지하극장에서 장례식을 마친 뒤 애국열사릉에 안치되었다.
오늘날 한반도의 남북정세는 남북 분단 70여 년을 맞는 지금의 시간에 그 어느 때보다도 남북한의 평화공존과 통일 조국을 염원하는 정치적 분위기가 괄목 성장하게 조성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그에 대한 보다 정확한 평가가 내리고 조국 통일을 앞당기는데 그의 정치적 행보가 남북의 교량 역할을 하여 그로 인한 시금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래서 이러한 시점에 그 어느 때보다도 허헌의 연구자들은 그를 계급보다는 늘 민족이란 과제를 중시했던 점도 분명한 민족주의자라는 점을...
[학위논문]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통일 대응 연구 : 1980년 이후 교포교회, NCCK, WCC의 통일 운동을 중심으로
...하지만 조그련의 통일론 배후에는 조국 통일 3대 헌장이 있었다. 일곱째, 조그련의 통일론은 김일성과 김정일, 김정은의 교시를 그대로 인용하였고, 북한의 학자들이 주체사상과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교시를 해석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결국, 조그련의 대응에서 주장한 이들의 통일론은 조국 통일 3대 헌장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 정권의 통일론과 궤를 같이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조그련이 제시한 민족대단결통일론은 조국통일을 위해 계층, 종교, 사상과 상관없이 연대할 것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교포교회, NCCK, WCC의 기독교 통일운동에 대한 조그련의 대응은 북한기독교나 북한교회의 통일운동이라기보다는 북한 정권 기구의 국제연대 활동이었고, 공산정권 수립을 목적으로 전개된 통일전선이자 국제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