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이질성 극복과 통일과정에서 발생될 남북 디자인교육자, 전문가, 전문기업들에 대한 자격 기준에 남북 합의과정이 필요할 것 예측되었다. 산업측면에서는 국제기준에 따른 남북 표준 산업분류체계, 규격 및 색채의 표준 표기, 디자인통계 구축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남북한 통일과정의 순서대로 연구를 요약하면, 디자인정책 방향은 민간 교류협력 추진과 민족성 회복을 위한 상징매체 검토, 남북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디자인 등이 전망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남한 디자인 교육기관과 관련 공공기관에 북한 산업미술의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해 향후 남북의 디자인영역 이해와 관심을 증진시키고, 정치경제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측면에서 통일의 화두를 던지는데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