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대비 소비자교육에 관한 기초 연구
통일 소비자교육은 ‘통일사회를 대비하고 완성시키는 데 요구되는 소비자역할을 자각하고 주체적으로 살아가기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가치관 및 태도를 습득하게 하는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통일 소비자교육은 통일후유증을 최소화하고 남북통합에 드는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하고 통일교육과 소비자교육의 연계를 도모하여 우리사회 각 부문의 통일준비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통일대비 소비자교육은 소비생활에서의남북한 적응 및 통합이 통일한국 경제 성장의 첫 출발이 될 것이며, 그 기본 방향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사회에 걸맞는 공생적 소비가치와 태도․행동을 촉구하는 소비자교육 강화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대상과 연령에 따른 소비자교육 목표 및 내용 재정립이 선행되어야...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대상 소비자교육의 효과: 소비자피해 경험과 대응행동을 중심으로
...소비자피해를 경험하였을 때에는 소비자교육을 받았던 이력이 대응행동에 도움이 된다. 소비자피해를 당했을 때 피해 사실을 외부에 알리고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과 같은 대응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일종의 소비자시민역량(consumer-citizenship)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북한이탈주민 대상 소비자교육은 소비자피해에 대응할 수 있는 소비자역량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론된다. 종합하면,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소비자교육으로 소비자피해를 예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소비자교육을 통해 소비자피해에 대한 소비자의 대응행동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소비자교육의 내용과 전달방식, 전달 시점이 개선․보완된다면, 소비자교육의 소비자피해 예방효과와 관련하여...
[학술논문] 소비생활문제 인식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유형화 및 소비자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수가 3만명을 넘어섰으며, 지난해 이루어진 남북정상회담과판문점선언으로 한반도통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통일 후 북한주민이남한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어려움과 관련된 교육이 빠르고 체계적으로제공되어야 한다. 남한에서의 생활을 시작하자마자 북한이탈주민들은 시장환경이 제한적이었던북한에서와는 달리 복잡하고 발달된 남한의 소비환경에 놓이게 되어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에서 소비생활을 경험한 후 인지한 어려운 점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을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소비생활관련 교육의 내용과 방식에 대한요구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2016년 10월 중순부터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