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다문화(이주민) 통합 교육 방향
...가지지만, 오랫동안 이질화된 환경에서 이들에게도 다른 이주민들처럼 한국어, 한국문화 이해, 글로벌 다문화 시민교육 등의 교육도 함께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크게 동화주의와 다문화주의 접근의 절충의 입장에서, 첫째, 동화주의 관점에서는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과, 둘째, 다문화주의 관점에서는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 두 가지를 다루었다. 이를 본고에서는 구절판 접근에서의 다문화 통합 교육으로 보았는데, 공동체적 연대성 교육은 한국 및 아시아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우리’ 정체성을 기르게 하는 교육이다. 글로벌 다문화 시민성 교육은 민주주의와 자유 등에 대한 교육, 다종교 교육을 통한 문화 간 이해 교육 그리고 통일 시민적 덕성 함양 교육이다.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도덕적․시민적 역량 함양을 위한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 개발 및 적용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은 본원(本源) 탈북청소년, 중도입국 탈북청소년, 남한출생 탈북청소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모두 탈북청소년이라고 불리지만 중국 및 제3국에서 태어난 중도입국 청소년, 남한출생 청소년은 본원 탈북청소년과 출생국가, 언어, 문화 등에서 다르다. 통일 과정에서 남한에 정착한 탈북청소년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탈북청소년들은 남한과는 다른 북한 사회, 제 3국에서 성장했기에 가치관, 도덕성, 시민성 형성에 남한 청소년들과 다른 배경을 갖는다. 탈북청소년들의 개별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 이들의 내적 특성을 진단할 수 있는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 결과를 남한 학생들과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탈북청소년들은 남한 학생들에...
[학술논문] 탈북청소년의 도덕적․시민적 역량 함양을 위한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 개발 및 적용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탈북청소년은 본원(本源) 탈북청소년, 중도입국 탈북청소년, 남한출생 탈북청소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모두 탈북청소년이라고 불리지만 중국 및 제3국에서 태어난 중도입국 청소년, 남한출생 청소년은 본원 탈북청소년과 출생국가, 언어, 문화 등에서 다르다. 통일 과정에서 남한에 정착한 탈북청소년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탈북청소년들은 남한과는 다른 북한 사회, 제 3국에서 성장했기에 가치관, 도덕성, 시민성 형성에 남한 청소년들과 다른 배경을 갖는다. 탈북청소년들의 개별 특수성을 이해하기 위해 이들의 내적 특성을 진단할 수 있는 통합형 도덕성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 결과를 남한 학생들과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 탈북청소년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