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후 북한토지의 소유권 문제
Pursuant to the Article 20 of Chapter 2 of the Constitution of North Korea, Socialist State Land Ownership System is stipulated and has been maintained a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ly the State or a Cooperative Group can own land as a means of production. The basic paradigm of the Land Ownership System afte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should be based
[학술논문] 통일을 대비한 부동산 정책에 관한 연구 - 토지소유제도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남북한의 토지소유제도를 살펴본 후 독일통일의 사례를 검토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현황과 비교하여 남북한 토지제도에 따른 소유권처리방안에 대한 여러 가지 방안과 각각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통일 후 북한토지관리방안에 대해 점진적 사유화, 토지세금정책, 한정적사유화, 사유화추진기구의 설립, 국유재산관리청의 설립, 북한 토지기초조사 실시의 6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 대안은 통일이후 북한토지를 둘러싼 여러 가지분쟁을 해결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룩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학위논문] 統一 後 北韓 土地所有權에 관한 硏究
... />
제4절 獨逸의 私有化政策이 주는 問題點과 示唆點 77
Ⅰ. 東獨土地 私有化 政策의 問題點 77
Ⅱ. 私有化政策이 주는 示唆點 80
제4장 統一後 北韓 土地所有權 處理方案 81
제1절 土地所有權處理方案에 관한 論議 81
Ⅰ. 原狀回復에 의한 方案 81
1. 原則的인 原狀回復에 의한 方案 81
2. 制限的인 返還에 의한 方案 82
Ⅱ. 補償에 의한 方案 85
1. 原則的 補償, 例外的인 返還에 의한 方案 86
2. 特別補償請求權에...
[학위논문] 북한 흡수통합에 대비한 토지 소유권의 귀속과 분배에 관한 입법적 대응방안
...기구의 설립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통일과정에서 남북한이 통일합의서 또는 통일헌법을 채택할 경우 이들 문서에 몰수토지처리에 관한 기본원칙과 세부적인 처리방안을 사전에 명시함으로써 헌법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법적제도적으로 관련 당사자들 사이에 첨예한 이해대립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북한의 토지소유제도 개편에 관한 기본 방향을 규정하는 통일토지기본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통일토지기본법은 통일에 따른 토지개발과 합리적 분배를 위한 법적규제가 강화되고 일정한 토지제한권 제한이 따름을 명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국가재산관리청을 설치하여야 하고, 지적조사를 위한 특별법제정 및 전담기구를 설치한 후 북한지역 지적조사사업을 빠른 시일 내에 실시하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