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론 연구 :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 접근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연구로써 연구자는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통찰과 방법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본 연구에서는 총 42편의 논문을 분석했다. 문헌 분석은 북한이탈주민의 법적 지위와 법제 통합, 외국 사례의 분석과 시사점 연구, 대북지원과 통합정책 평가와 방향 제시, 사회적 자본과 멘토링 연결망, 북한이탈주민의 동질성 회복 및 공생, 학교 적응과 교육, 차별과 취업 불만, 낙인, 문화 적응과 관계 형성, 소통과 심리적 통일, 포섭과 배제의 연구 문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치적 다양성, 주체사상의 극복과 새로운 시민으로서의 정체성 재구성, 북한이탈주민들의 문화자본 등에 대한...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정착 지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을 연구한 문헌에서 사회통합의 관점이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지 2004년부터 10년간 발표된 연구들의 동향을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로 추출된 260편 학술논문과 72편 박사논문 중에서 26편 학술논문과 8편 박사논문이 최종 선정되었다. 대부분의 문헌들은 정부정책의 목적인 북한이탈주민의 자립(자활)을 달성하기 위한 제도와 전략들에 초점을 두었다. 거시적 수준에서는 실업률을 낮추고, 중도적 수준에서는 네트워킹과 하나센터를, 미시적 수준에서는 인적자원개발과 전문가의 직무개발 등이 다뤄졌다. 추출된 문헌들에서 사회통합의 개념은 ‘소속감’, ‘배제되지 않음’ 그리고 ‘통일준비’로...
[학술논문] 남북한 중학교 미술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통일대비 미술교육 방안 연구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의 교육정책과 미술과 교육제도에 대한 이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개념들 간의 관계를 탐색한 후 남북한 교육정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발행되어 있는 미술교과서와 남한에 존재하는 최신 북한 교과서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서 제도 및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 선정은 357개의 학교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3종의 교과서와 북한의 2013년 개정 초급중학교 교과서로 선정하였다. 셋째, 북한의 교육환경과 미술교육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하여 2명의 탈북청소년과 이들을 가르치는 3명의 북한교육관련 전문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넷째, 인터뷰에 대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여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북한이탈청소년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 관련 논문 55편을 선정하여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가 발표된 연도, 연구분야, 학술지,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자,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05년을 시작으로 연간 1~8편씩 수행되고 있는 북한이탈청소년 대안교육 및 대안학교관련 연구는 사회과학 내 교육학, 사회학 분야의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최근 인문학, 예술체육학, 의약학 등 다양한 분야로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혼합연구가 소수 활용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양적연구에는 실험연구와 설문조사가, 질적연구에는 심층면담이 주로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안학교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