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군 특수전부대 위협 평가
...들어 핵ㆍ미사일과 같은 대량살상무기 개발과 함께 특수전부대 전력증강에 노력을 집중하였다. 특히 전방군단에 경보병사단을 창설하고 전방사단의 경보병대대를 경보병연대로 증편하는 등 경보병부대의 전력 증강은 북한군의 새로운 위협으로 대두되고 있다. 북한이 이와 같이 특수전부대 전력을 증강하는 것은 한미연합전력의 질적인 열세를 만회하고 한반도의 지형적 특성을 활용하기 위한 전술적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은 현재 20만 여명의 특수전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은 유사시 땅굴, AN-2기, 공기부양정 등 다양한 이동수단을 이용 한국군 후방에 침투하여 국가 및 군사 주요시설을 타격하고 후방 교란작전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은 이러한 대규모 특수전부대를 평시에는 대남국지도발과 테러 등 자신의 체제유지를...
[학위논문] 김정은 정권의 군사전략 변화에 관한 연구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비대칭 수단을 이용한 제한전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기동전 위주의 전투력 증강에서 벗어나 비대칭 수단에 대응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신기술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대칭 수단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여 비대칭을 대칭 위협으로 바꾸어야 한다. 즉, 북한의 미사일과 장사정 포병, 특수전부대 등 비대칭 수단 위주의 군사력을 어디에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분석하고, 위협 우선순위에 따라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북한의 공격을 무력화 할 수 있는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형 핵무기를 이용한 위협분석 및 대응책 수립이 필요하다. 설사 공격한다 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호력 향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핵 지휘통제를 마비시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