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아동문학 판타지의 통일담론 연구
...동질성/이질성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아동문학 판타지 작품으로 판단되어 본고의 분석텍스트로 선택하였다. 휴전 이래 지금까지 60여 년 동안 각 체제의 정치철학적 세계관이 추진해 나간 통일론의 문화인식론적 방향은, 남한이 내부 치유를 통한 민족통일론으로, 북한이 외세 대항을 통한 민족통일론으로 진행되었던 바, 그 분기(分岐)된 문화적 원형의 감정구조가 바로 이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선명하게 확인될 수 있었다. 남북이 마음으로 화합하면 통일이 될 수 있다는 그리움과 기억의 내향형 판타지를 통해 통일의식을 드러낸 남한, 그리고 외세에 대항하는 힘을 같이 길러야 통일이 될 수 있다는 외향형 판타지를 지속적으로 선동한 북한의 통일의식은, 1954년 이 두 아동문학 판타지 작품들에서 포착되는 것처럼, 휴전 직후부터...
[학술논문] 한덕수 시 연구 - ‘엑서더스 제스처’를 중심으로 -
...남시우가 보여준 것 이상으로 공화국 민족주의에 경사되었다. 전후의 일본은 물론 대한민국 측으로부터도 철저히 소외당한 재일조선인들의 구원을 위한 한덕수의 노력은 ‘소수자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불가피했던 측면도 없지 않았지만, 문제는 수령 주체사상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컸다는 데서 발생했다. 소수자로서 디아스포라와 그들을 구원하려는 판타지로서 주체사상 간의 균형을 맞추려 노력을 시도했던 수많은 총련계 재일조선인 시인들과 달리 그는 김일성이 자신에게 하달한 지령을 노골적으로 ≪문학예술≫지면에 게재하면서 공화국이 주도하는 조국통일의 당위를 강조했다. 그의 시가 좀 더 주력했던 것은 절박한 상황에 놓인 동포들을 북한으로 귀국시키기 위해 그들에게 전시했던 ‘엑서더스’(일본...
[학술논문] 통일 후 효과적 전도의 도구로서 민족의 애가 아리랑의 사용방안 연구
연구자는 평화통일과 화해를 위하여 남북이 함께 공감하며 소통할 수 있는 음악을 고민하며 연구하던 중 8,000만 민족의 애가인, 아리랑 곡조(Hymn Tune)에 의한 아리랑(Arirang) 찬송을 작시한 바 있다. 아울러 아리랑 오르간 환상곡(Arirang Organ Fantasy)연주와 아리랑 찬송가를 통하여 ‘평화통일과 화 해’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아리랑(Beautiful Daring)은 민족의 애가(哀歌)이 며 통일 조국이 함께 부를 민족의 애가이므로 비록 지난 70년간 사상과 이 념이 다른 체제 속에서 살아왔지만 우리가 한 민족이며, 한 동포임을 확인하 게 해주는 곡이기 때문이다. 해외 동포와 교회, 심지어 세계교회까지 한반도 의 평화통일을 위해 오랫동안 염원해 왔던 기도가...
[학술논문]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기록영화에서 조형된 집단적 마음: <내조국 빛내리>를 중심으로
현재적 관점이지만 북한은 고난의 행군이라는 체제 위기 상황을 극복했다. 충분히 체제가 전복될 수도 있었던 상황을 극복한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 본 연구에서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북한 당국이 집단적 마음을 형성시키기 위해 기록영화를 통해 어떤 전략을 취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인민에게 영웅적 환타지의 주인공이 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강한 정신력으로 고난을 돌파한 모범 사례들을 해답으로 제시한 것이다. 둘째, 패배주의를 경계하고 승리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이미 닥쳐온 경제문제의 돌파구로 집단적 마음의 통합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주민의 동질적 마음 형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현재까지도 강조되고 있는 공산주의적 도덕성의 회복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집단적 마음이라는 것도 결국 사회적...
[학술논문] 북한의 「나무꾼과 선녀」 서사양상 연구
...but the difference is intensified to the end. We say that this narration reflect the cultural policy of North Korea at the point of conclusion with reality which is very far from miracle tales and fantasy and pursuit real world story associated with common life. Old Story has common originality of South and North Korea. But After nation division. it is differentiated and it means each of country h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