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
발해 기와의 고고학적 연구는 매우 미진한 분야에 속한다. 상경성, 서고성, 팔련성, 육정산고분군 등발해 유적의 발굴보고서가 발간되면서, 발해 기와의 종합적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우선 남·북한, 중국, 러시아, 일본 등의 발해 기와의 연구 성과를 시기별로 검토해 보았으며, 앞으로의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발해 기와의 연구는 대략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기(1930~40년대)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가 주도되어 기와의 문양과 형태 등을 검토하였으며, 연구 토대가 마련되어 학사적 의미를 둘 수 있는 시기이다. 2기(1950~70년대)는 조·중공동발굴대에 의해 중국 동북지역의 광범위한 발굴이 이루어진 시기로평기와에 시문된 압인, 문자 등을 주목하기...
[학술논문] 발해유적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전망과 대응 방안
...중국인의 범주에 넣고 중국사로 서술하는 움직임을보이고 있다. 발해유적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하려는 중국의 최근 의도계획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중국 내 발해유적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발해유적의 가치와 현재 보존상태 등으로 보아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발해 상경성, 서고성, 용두산고분군, 팔련성, 돈화 발해 초기유적 등 주요발해유적이 등재 범위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 중국이 발해유적을 잠정목록에 등록하겠다고 공표하였으므로, 머지않아 잠정목록에 올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제 세계문화유산으로 신청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잠정목록에는 이미 많은 유산이 들어 있고, 한국의 반발도 변수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발해유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