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초기 문학예술의 미디어 전장: 『문화전선』에서 『조선문학』으로
...『문학예술』(1948∼53)을 미디어 독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8․15해방 후 북한 사회주의체제 건설과정의 진통이 문예지에 실린 기사뿐만 아니라 미디어 자체의 편집양식 변화에도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당과 문예조직의 미디어 장악 의도가 강하게 작동한 이면에는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문학예술이 ‘당 정책의 전달자’ 노릇을 해야 하는 선전시스템에 맞게 정책 홍보 기능을 강화하는 데 문예지가 크게 기여한 반면, 잡지 출판물로서의 안정성과 완성도가 떨어지고 독자와의 공감을 위한 접근성, 대중성이 태부족하였다. 새로운 국가와 사회 건설에 대한 긍정적 열정이 드러난 이면에는 지도자 찬양과 친소 성향이 도를 넘었다. 결론적으로 사회주의 체제 건설의 초창기에 겪을 수밖에 없는 온갖 시행착오가 이 시기 문학미디어에...
[학술논문] 매체사로 다시 보는 북한문학:『조선문학』 연구 서설
...및 특집(기획) 방식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편집진이 기관지 상급 기관인 당과 작가동맹의 정책 변화에 따라 당 정책의 전달과 개인숭배의 선전 기능에 치중된 편집양식을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195,60년대 편집진은 때로는 선전 기능을 일부 줄이고 문예지적 지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1967,8년, 주체사상이 정착되자 문예지 기능은 최소화하고 선전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편집 체제로 변경되었다. 편집양식의 변화에 따라 메시지도 당 정책의 선전 수준을 넘어서 극단적인 개인숭배가 주를 이루었다. 잡지의 월별 특집도 195,60년대에는 대표 작가, 당과 국가의 기념일 위주에서 1970년대 이후에는 김일성과 그 집안사람의 기념일 위주로 변경되었다. 1975년 80쪽 체제가 고정되면서 국가의 문학 관리 시스템이 문예지를...
[학술논문] 6․25전쟁 전후시기 북한 문예지의 문화정치학
이 글에서는 6․25전쟁 전후시기 북한의 (북)문예총 기관지인 월간 『문학예술』(1948.4~1953.9) 매체를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당대 문학-미디어장과 문학사 지형을 논의한다. 『문학예술』 편집체제의 역사적 변모를 살펴보면, 북한 체제 초창기의 역사적 격변에 따라 사회주의 체제 건설과 전쟁 승리를 위한 선동선전, 그리고 당 문예정책의 헤게모니를 다투는 이념 및 미학 투쟁이 벌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정세 급변과 문단 주도권 다툼의 와중에서 선전매체적 지향과 문예매체적 지향의 길항관계를 역동적으로 드러냈던 것이다. 제1기(1948.4~50.7) 소련파 정률과 프로문맹 출신 안함광이 주도한 북문예총 기관지 시기에는 선전지적 성향이 강하고, 제2기(1951.4~52.11) 임화․이태준․김남천 등 조선문학가동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