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비전과 통일정책 - 한국 통일정책 평가와 향후 과제 -
...그 자체의 역사적 의의와 성과 못지않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햇볕정책은 남북관계를 ‘화해와 대화의 시대’로 전환시켜야 하는 탈냉전의 역사적 과제에 부응하고자 한 정책이었으며, 햇볕정책 추진 과정상의 문제점은 대결로부터 화해, 불신으로부터 대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반드시 겪어야 하는 예고된 혼란과 진통으로 이해할 수 있다. 평화번영정책은 ‘미국 없는 동북아의 꿈’에 기반하여, 북한 면책과 반미 자주의 성격을 드러냈다. 이명박 정부의 상생⋅공영의 대북정책은 노무현 정부의 정책 노선과 정반대의 노선으로, ‘원칙’ 앞에 무너진 실용주의의 한계를 보였다. 당장의 법적⋅제도적(de jure) 통일은 어렵고 위험한 길이다. 한반도 평화...
[학위논문] 南北韓 統合過程의 葛藤管理에 관한 硏究
...활성화되고,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짐에 따라 남북한의 갈등은 완화되는 추세에 있었다. 그러나 대외적으로는 9·11테러 이후 미국의 대북한 정책이 강경정책으로 전환되고, 북핵문제가 불거지면서 북미간의 갈등이 다소 고조되고 있다. 노무현정부는 기본적으로 대북포용정책을 계승하고 있으나, 최근 일부 접근방식에서 조정과 수정을 가하는 대북 '평화번영정책' 을 표방함으로써 한층 복잡한 상황전개를 상정한 통일정책을 구상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한층 가깝게 다가온 남북한의 통합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고, 주요 분야별로 통합을 향한 정책 대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이념적 측면에서는 동일한 민족임을 강조하는...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제와 전략
...것이다. 남북은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전제로는 ①북한의 비핵화, ②한국의 당사자로서의 적격성 등을 들 수 있다.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평화번영정책의 추진전략으로는 ①단계적·포괄적 접근, ②남북관계와 북핵문제의 병행진전, ③제도화를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④호혜적 협력을 통한 평화적 통일기반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전략추진 시 고려사항으로는 ①고유한 한반도 평화협정 모델 창출, ②유엔사 해체와 무관한 주한미군 주둔, ③미래지향적 평화·공영·통일노력의...
[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에서의 평화번영정책 부활과 남북한 시각차
이 연구는 김정은 정권에서의 평화번영정책 부활과 남북 간 시각차를 분석한다. 지금까지 북한 통일정책의 핵심담론인 자주통일과 평화통일이 평화번영으로 교차되는 시점은 두 차례 있었다. 김정일 정권에서는 북핵 6자회담과 경제위기배경에서 남북경제협력을 위한 ‘소극적 평화번영정책’을 내세웠다. 그러나 김정은 정권에서는 비핵화회담과 국가경제발전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배경에서 <남북관계대전환>을 목표로 ‘적극적 평화번영정책’을 추구했다. 이에 따라 2018년 북한 대내외 매체들에서는 자주통일과 평화통일에 대한 언급이 축소되고 평화번영에 대한 언급비중이 추월한다. 그리고 평화번영과 평화통일이 교차 되는 비중은 한국의 언론매체들에 비해 훨씬 높은 편이다. 비핵화회담이 결렬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