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인터넷 개방의 정치적 영향: 선험적 사례를 통한 분석과 전망
많은 사회주의 및 권위주의 국가들은 인터넷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도전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러한 도전에 맞서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 왔다.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체제인 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뒤늦게(최근에) 인터넷을 개방했을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엄격하게 인터넷을 통제하고 있다. 이 글은 인터넷을 개방한 북한이 직면하게 될 인터넷의 정치적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이론적 자원은 권위주의 체제들에서 인터넷의 정치적 영향에 관한 두 가지의 대조적인 이론적 시각이라고 할 수 있는 독재자의 딜레마(dictator's dilemma) 이론과 사이버체제(cyberocracy)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인터넷이 북한체제에 미칠 수 있는 정치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국내적․대외적...
[학술논문] 북한의 부패 실태 및 사회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장화-약탈성-부패의 메커니즘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체제는 경제적 내핍 속에서도 내부 균열 내지 급변 징후를 보이지 않고 있다. 그러나 북한체제는 시장화의 진전 속에서 주요한 내부적모순으로서 부패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초기의 관료부패를 넘어 점차 시장부패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으며, 김정일 시기와 김정은 시기로 이어지며 점차 구조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경제시스템이 사실상 작동 불능 상태에 이르게 된 1990 년대 중반 이후부터 현재까지를 분석 대상기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북한의 시장화 정도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국가-주민 간의 약탈성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그리고 이것이 사회적 부패로 이어지면서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구조화 되는지를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학위논문] 北韓의 對美 非對稱 抑止.强制 戰略 : 핵과 미사일 사례를 중심으로
...제압하여 얻을 수 있는 별다른 이익이 없다는 것이 북한이 가진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둘째, 북한 체제의 특성이 가진 정책적 딜레마로 인해,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을 통한 비대칭 전략을 선택하게 되었다. 북한은 집단주의적 가치관을 가진 체제이며, 수령유일체제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북한은 극도의 폐쇄적인 체제를 유지해왔다. 북한으로서는 체제의 생존을 위해 개혁ㆍ개방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개혁ㆍ개방은 북한 체제의 핵심인 수령유일체제의 유지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적 딜레마를 극복할 수 없었던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을 선택하였다. 북한의 목표는 현 체제를 그 상태로 인정받아 안보 위협을 없애고, 제한된 억지력을 바탕으로 경제적 보상을 받아내는...
[학위논문] 북한 社會不平等構造의 성격과 심화과정
...청산과 배제의 대상으로 구분된 주민들을 가족단위로 집단수용하는 정치범수용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구소련, 중국, 동구권에서도 과거 대규모 소용소를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북한의 경우 아직까지 10여 곳에 약 20만 명이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일곱 번째는 정보독점에서 비롯된 사회불평등이다. 사회주의사회는 폐쇄체제를 지향하기 때문에 주민들은 국영언론이나 각종 관제조직의 유도대로 정치사회화되고 동원될 뿐이다. 민간의 영역이 전무한 북한사회에서 언론이란 그저 국가의 일방적인 홍보매체일 뿐이다.
북한은 사회불평등구조를 창출하는 매우 엄격한 사회적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성분별 위계구조와 기능별 위계구조이다. 북한의 사회정책은 국가의 일방적인 행정적 배분에...
[학술논문] 북한 정보기구의 변천과 현황
...김일성·김정일주의화(전 한반도의 적화통일)’를 달성하기 위한 대남간첩공작 사업이다. 북한 체제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작업에서 ‘정보기구’의 기능과 활동을 연구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유이다. 문제는 모든 나라에서 정보기구는 가장 비밀스러운 영역이며 가장 보안이 요구되는 기관들이어서 실체 파악이 어려운 상태이다. 특히 수령절대주의 폐쇄체제인 북한의 특성상 정보기구의 체계나 활동을 정확히 파악한다는 것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민간학자나 전문가들이 북한의 정보기구를 연혁에서부터 조직, 기능, 활동에 이르기까지체계적으로 연구하기가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정보학 차원에서 북한 체제 유지의 핵심기관인 북한정보기구의 변천과 현황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다만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