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이후 《동학사》의 비판적 수용과 농민전쟁연구
... 가능성을 더욱 구체화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정창렬은 12개조의 실재성을 『오하기문』의 기록과 대조하여 1894년 7월 6일 전봉준과 김학진 사이의 전주회담의 결과로 보고 폐정개혁사업의 강령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오지영 저작의 신빙성을 인정하면서 구체적인 실체 연구를 진행시킨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폐정개혁 12개조에 대해서는 《동학사》의 초고본과 간행본의 내용 차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특히 오지영의 회고담과 전봉준 재판과정에 대한 《동학사》의 기술 비교 등을 보충하였다. 앞으로 폐정개혁 12개조의 실재성 여부에 대해서는 홍계훈에게 올린 27개조 폐정개혁 중 사라진 13개 조항의 복원 등 자료 수집과 다각도의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와 같이 오지영의 《동학사》저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