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정권의 대외전략과 그 요인 연구: 한국의 대북정책에 주는 함의
북한 김정은 정권이 공식 출범한 지 3년 6개월에 접어들고 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2012년 4월 집권 이후 첫 공개연설을 통해 핵능력을 포함한 군사력 강화, 인민생활 개선, 조국통일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따라 2013년 2월 12일 제3차 핵실험 강행과 2012년 6월 28일 발표한 ‘6.28 방침’ 등 김정일 시기의 선군정치 기조와 ‘체제 내적 개혁조치’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러면서 2013년 12월 장성택 처형, 잦은 인사교체 등 불안정한 통치능력을 노출하면서 지도자로서 한계를 보이기도 했다. 대남정책에 있어서는 ‘강한 도발’과 ‘강한 요구’를 특징으로 하는 ‘위기 조성’, ‘협력적
[학술논문] 러시아의 세계화 전략과 대한반도 정책
... 열렸다. 또 다른 모습에서는 국경선을 마주한 인접국으로서의 지정학적 조건과 한반도에 대한 다중적 수준의 국익 그리고 동북아 지역에서 전통적 영향력을 확보하고자 함으로 비쳐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본 글에서 푸틴 정부의 대 한반도 정책 기조와 전략을 그의 세계전략과 동북아 전략의 시계열(時系列) 상에서 고찰한 후, 푸틴의 러시아가 추구하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구상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러시아를 한반도 평화구도 정착의 건설적 중재자로 유도하는데 요구되는 우리정부의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오일가격 하락이 세계 경제위기 특히 러시아 경제에 크게 미치고 있으며, 이런 현실은 남북러 삼각협력에서 한국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졌다는 사실이다. 한국은 이제 단순한 수동적인 방관자에서 벗어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