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조선음악 조식연구 초기의 전개 양상-1950년대 후반부터 2000년경까지-
한국 전통음악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하나로 그동안 남한 학계는 전통음악 여러 장르의 음악과, 지역적 특징을 지닌 향토음악의 음조직 연구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 결과 궁중음악과 풍류방음악, 그리고 전문음악인들의 음악뿐만 아니라 토속적인 향토음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음악을 대상으로 음조직 이론을 논의해 왔다. 한편으로 우리 민족의 전통음악 음조직에 대한 연구는 북한 음악학계에서도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였고, 그 중에서 민요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1950년대 후반부터 수행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전통음악을 대상으로 하는 음조직 연구의 심화를 위하여 그 동안 북한 학자들에 의한 음조직 연구의 진행과정과 그 성과를 살펴보고, 남북한 연구자들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드러내어 향후 이 분야 연구에 깊이를 더...
[학술논문] 통일에 대한 종교학적 성찰: 동질성의 회복
...관점을 적용하여 통일에 대한 성찰을 하고 있다. 논문에서는 한국인이 통일이전에 동질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반도의 통일은 이러한 동질성을 다시 회복할 수 있다는 가정아래 통일을 대비해야 함을 강조했다. 한국인이 공유하는 영성, 종교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영성을 다시 회복하자는 것이 본고의 주된 주장이다. 한국인은 통일 이전 유불선의 종교가 들어오기 이전에 풍류라고 하는 삼교를 포함하는 오묘한 도를 지니고 있었다. 한사상을 기본으로 하는 이러한 동질성은 남·북한이 분단되면서 남과 북에서 각각 다른 형태로 변환되어 북한에서는 주체사상이라는 형태로 남한에서는 기독교의 번성이라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통일을 대비하여 한국인이 통일 이전에 가졌던 동질성을 회복하고 민족의 얼을 다시 회복함으로써 남북한의 통일주체들인...
[학술논문] 東學의 韓民族 精神史的 意義
19세기 후반 조선사회는 봉건전제사회가 갖는 모순의 누적으로 안으로는 치유불능의 고질병에 걸려 민중들은 도탄에 빠져 신음하고 있었으며, 밖으로는 서세동점에 의한 서양 및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심각한 도전을 받아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동학은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보국안민과 광제창생을 위해 창도된 한국의 대표적 민족종교 중의 하나이다. 한국의 민족종교 중에서 동학이 갖는 한민족의 정신사적 의의는 동학정신의 연원이 한민족의 뿌리정신에 근거한다는 것에 있다. 그래서 오늘날 분단된 한국의 현실에서 동학이 갖는 의의는 실로 매우 중대하다하겠다. 그것은 동학정신이 한민족의 잃어버린 뿌리정신의 부활이란 관점에서 한민족 주체의식을 제고해 주는 각성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남북한의 통일과정이나 그 이후에
[학술논문] 20세기 한국사상 원형의 국가주의로의 전향 - 안호상과 김정설을 중심으로-
...이데올로기화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원형담론이 국가주의로 전향되면서굴절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안호상의 경우 이승만 정권에서 ‘단군’과 ‘풍류’ 담론을 일민주의에 토대가 되는사상으로 변용시켰다. 그리고 박정희 정권에서 김정설은 ‘풍류’와 ‘화랑’정신을 국민윤리로 재구성하였다. 그들은 서양의 국가주의를 수용하기보다, 전통철학을 변용한국가주의를 주장하였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단군’ㆍ‘풍류’ㆍ‘화랑’의 원형 담론은 제도나 교육그리고 정치이념으로 선전화되고 확산되었다. 다시 말해 원형 담론은 민족주의와 반공주의적으로 변용되어 국민들을 순치시키며...
[학술논문] 漢詩에 나타난 江原道 高城의 심상 - 『新增東國輿地勝覽』 소재 題詠詩를 중심으로
...지역 정보를 서술하는 다양한 항목에 시를 실어 두고 있다. 시는 산천, 누정, 역원, 불우 등의 항목에서 각 항목에 속하는 구체적 장소들을 표현하고, 제영 항목에서는 지역 전체를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제영과 그 외 다른 항목들은 시를 수록한 형식과 양상에서 차이를 보인다. 고성 지역 내 다양한 장소들을 읊은 제영시들은 이계를 연상시키는 기이한 비경, 풍류를 일으키는 장쾌한 풍광, 의식을 전환시키는 고요한 풍경의 세 가지 심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영 항목에 수록된 시에서 고성의 심상은 천혜의 승지와 적막한 벽지라는 두 심상으로 집약되었다. 대비되는 두 심상은 시인이 대상을 접한 계기, 대상과 맺고 있는 관계, 내면의 상태 등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지역에 대한 심상은 개인의 개별적 경험과 성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