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 · 25 전쟁기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의 조직과 활동
본 논문의 6 · 25전쟁 당시 인천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의 형성과 활동, 변화 그리고 의의를 고찰한 논문이다. 본 연구는 학도 의용군 관련 자료가 제한된 현실에 따라 일부 2차 자료와 인천학생 6 · 25참전사 편찬위원회가 발간한 구술사 기록을 주로 참고하였다.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은 1950년 6월 26일 편성되었는데 이는 가장 먼저 형성되었다고 알려진 비상학도대 보다 앞선 것이었다. 또한 당시 여타의 학도의용군과 달리 인천의 학도의용군들은 개전 초기 인천의 질서와 안정을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이들은 도시를 방어하고, 식량을 분배하였으며 주요 건물에 대한 경계를 담당하였다. 심지어 경찰이 철수한 이후에 다시 그들을 불러와서 지방 공산주의자들이 사전에
[학술논문] 초강 이범석(1925~1983)의 생애와 인도주의 활동 – 대한적십자사 활동을 중심으로 -
...대한적십자사에서의 인도주의 활동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대한적십자사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한국전쟁 당시 미국적십자사통역 경험이 계기가 되었다. 미국적십자사의 통역으로 대한적십자사와깊은 관계를 맺고 있던 이범석은 포로교환문제에 있어 대한적십자사의대표로 참여하게 되었다. 포로교환이 종료된 후에는 대한적십자사에서청소년적십자 활동에 주력하였다. 한국정부에서는 학도호국단 이외에학내 조직은 불허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국은 청소년적십자활동에 있어불모지나 다름없는 상태였다. 이런 어려운 여건 속에서 그는 미국적십자사의 통역으로 활동하며 경험한 타국의 적십자활동을 토대로 청소년조직을 결성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적십자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했던 한국에서 중고생을 중심으로 강습회 등을 개최하며, 청소년적십자단을 초석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