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 교사의 소진에 대한질적 연구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에 연구자는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 근무하는 3명의 교사를 면담하였다. 본 연구결과,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서 교사들은 정신적·신체적 소진을 겪고 있었으며, 교사 소진이 교육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소진은 일에 있어서 투입(input)과 산출(output)의 불균형에 기인한 것으로, 이들은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에서 과중한 업무를 헌신적으로 수행하고 있었으나 이에 대한 경제적 보수는 매우 열악하였으며, 사회적·제도적으로도 교직 전문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교에서 행정가나 동료교사와 교육관의 갈등을 겪기도 하였으며, 학생들에게서 상처를 받기도 하였다. 덧붙여, 교사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소통의...
[학술논문]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북한이탈학생들의 경험과 인식 연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장애인의 삶과 특수교육의 단면을 살펴보고, 특수교육 분야에서 통일을 준비하는 관점에서 방향성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면담을 통해 분석된 코드는 24개의 의미단위와 8개의 하위범주, 4개의 상위범주로 분류되었다. 4개의 상위범주는 ‘장애인의 실태’, ‘장애 발생원인’, ‘장애인의 생활상과 지원정책’, ‘북한의 특수교육’이었으며, 이 요인들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학술논문] 휴전선 접경지역 학생들의 북한과 통일인식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북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비 접경지역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 학생들도 북한이나 통일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다. 학교에서도 통일교육을 그리 신경 쓰지 않아 공식 역사로서 북한과 통일을 배우는 일은 드물었고 지역 유적지는 학생들에게 전쟁이나 분단의 상징이라기보다 일상 공간이었다. 평소 지역주민과 부모는 북한이나 통일에 대한 이야기를 학생들과 나누는 편은 아니었으나, 남북 대치 상황일 때는 불안감을 해소시켜주기 위한 발언들을 자주 하였다. 또 군인들이 공식 역사의 공간인 학교에서 가르치는 활동을 많이 해서 학생들이 친근감을 느꼈다. 이 친근한 군인들이 북한에 대한 안보교육을 하여 학교에서 배운 것과 다르게 북한을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비 접경지역 학생들의 통일교육이...
[학술논문] 탈북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활동에 관한 정책연구학교 교사의 경험
이 연구는 2014년 인천의 N초등학교가 탈북학생교육 정책추진학교로 지정되면서 교사들이 기록한 「탈북학생 지도의견」 분석표에 탈북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활동에 대한 관한 의견을 토대로 기획되었다. 연구대상인 N 초등학교는 인천지역에서 가장 많은 탈북학생이 재학하고 있는 학교로서, 이 곳의 탈북학생 지도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탈북 학부모가 학교에 대해 ‘비협조적인 태도’로 보임으로써 학교 교육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체제와 교육체제가 다른 환경에서 살아온 탈북 학부모의 한국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학부모 교육’이 탈북학생교육보다 선행되어야 한다는 교사들의 공통된 인식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론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의 on-line 대학교에서의 교육경험과 그들의 필요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on-line대학을 접한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의 교육경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해보고 그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교육함에 있어 보다 효율적이며, 효과적인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며, 그들이 조금은 더 수월하게 학습에 임 할 수 있는 방법을 끌어낼 수 있을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언어의 문제, 컴퓨터사용의 문제, 일-학업을 통한 직업선택의 문제, 학력필요성의 인지, 예외규정의 적용가능성, 경험해보지못한 교육방식의 여섯 개의 대 주제를 끌어낼 수 있었고, 또한 각각의 주제를 분석한 후, 북한이탈주민학생들의 on-line 교육 경험을 구조화 하고, 결론으로문제의 대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