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유호와 한흥수: 그들의 행적과 학술 논쟁(1948~1950)
...체코 프라하에서 김일성의 친서를 받았고, 이를 계기로 1948년경에 입북하였다. 도유호와 한흥수는 원시시대, 고고학, 민속학 등에 대한 관심을 공유하면서 북한에서 활동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원시사회의 성격, 생산관계, 혈연관계 등을 고찰하는 데 있어, 서로 상반된 주장과 접근 방법을 표명하며 여러 차례 학술 논쟁을 벌였다. 한국 고고학사의 측면에서 판단할 때, 그들의 논쟁은 두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될 수 있다. 첫째, 그것은 사회주의적 분위기가 고조된 초기 북한 고고학계의 학문적인 동향을 반영해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그들의 논쟁과 거기에서 논의된 주제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의 시간적 공간에서 이루어진 한국 고고학사의 빈틈을 채워주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술논문]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과 북한연구방법론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은 1980년대초반 등장 이후 최근까지 과학기술학(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사회과학, 인문학, 지리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학술적 이론이다.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은 사물과 인간,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적 존재론으로 구축된 근대주의에 대한 비판과 함께인간과 비인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세계에 대한 인식을 제시하는 것을통해 새로운 인식론적·방법론적 논쟁과 성찰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논문은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이 사회과학과 북한 연구에 주는 인식론적성찰과 방법론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첫째,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이 제시하는 주요 문제의식과 개념을 소개하고...
[학술논문] 북한인권법 제정 이후 인권정책의 방향과 실천과제
...2016년 3월 2일 제19대 국회에서였다. 이는 북한인권법안이발의된지 11년 만에 이루어진 결과이다. 우리 사회에서 북한인권법이 통과되기까지 오랜시간이 걸린 것은 북한인권문제가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기 때문이다. 북한인권법이 통과되기까지 11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듯이 향후 우리 사회에서는 북한인권문제와 관련하여 정책적으로나, 학술적으로도 많은 논쟁이 야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 인권문제는 국내외적으로 환경과 구조, 조건 등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이 있다. 북한인권문제와 관련하여우리 사회에서는 북한인권법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과 북한인권법제정으로도북한체제에 강력한 경고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이 공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북한인권법의 구성과 내용, 특성을 면밀히 고찰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역사학과 소련 역사학의 관련성 - 1945년부터 1963년까지
...소개되기는 했지만, 이전보다는 그 수가 줄어들었다. 김일성의 권력이 강화되는 과정에서 역사학계에서는 리청원이 숙청되었고, 삼국시대의 사회구성체를 놓고 북한 역사학자들은 1950년대 후반에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1954년부터 1960년 사이의 시기는 북한 역사학이 소련 역사학의 논의구조를 참고하기는 하였지만, 나름대로 의존관계를 탈피하고자 시도한 때였다. 더구나 삼국시대 사회구성체 논쟁이 마무리된 1961년 무렵에는 북한과 소련 사이에는 외교적인 갈등이 증폭되고 있었다. 이때 소련에서는 비록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학술적인 자유가 확대되고 있었던 반면에, 북한에서는 스탈린주의 역사학의 특징인 전체주의적 성격이 강화되고 있었다. 1961년부터 1963년 사이에 미하일 박 등 소련 역사학계에 대하여 북한 역사학계가...
[학술논문] 북방한계선(Northern Limit Line : NLL)관련 연구 경향 분석 및 제언-1998년~ 2023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서해 북방한계선에 관한 논쟁은 1953년 8월 유엔군사령관이 한반도 해역에서 남북간의 우발적 무력충돌을 예방한다는 목적으로 설정한 이후부터 지금까지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문제이다. 2022년에는 분단이후 최초로 NLL이남으로 북한이 미사일 도발을 한 바 있다. 이처럼 북한의 실질적 도발이 진행중인 NLL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확인해보고 나아갈 방향제시를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23년까지 NLL에 관해 연구된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RISS, 스콜라 등 총 5개의 학술정보 DB를 활용하여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연도별, 분야별, 연구 방법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연도별로는 정부별 대북관계 기조에 따라 연구량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 분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