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소 분쟁 초기 중국의 대북한 원조 - 1956〜1960년을 중심으로
...5개년 경제계획을 수립하고 소련과 중국 등 사회주의 국가에 원조를 요청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북한에서 1956년 발생한 '8월 종파사건'시 자국의 권유를 이행하지 않은 북한에게 원조 관련하여 긍정적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중국의 태도는 1957년 중반기부터 바뀌기 시작하였다. 중-소 양국 공산당 사이에서 이념분쟁이 발생하기 시작한 것이었다. 이러한 중-소의 관계변화는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상승시켰고, 중국과 소련은 북한의 지지를 이끌어 내기 위해 경쟁을 하였다. 중국은 북한이 요구하는 원조에 대해서는 자국보다도 우선적이었다. 결국 중국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 1958년을 기준으로 북한에서 전 분야에 걸쳐 소련과 대등한 위상을 확보하게 되었으며, 북한으로 하여금 소련보다는 중국의 경제정책을 모방하고...
[학술논문] 박정희 정부의 대중·소 외교정책 - 대통령 기록물 분석을 중심으로
... 밀착성 이외에도 대만과 관계를 의식하여 거리를 두었다. 특히 한국은 1973년 모스크바 유니버시아드 대회에 참가할 정도로 소련과의 교류를 강화시킬 조건을 형성시켰다. 중·소 양국 역시 비슷한 태도를 취했다. 이 시기 대중·소 외교는 그 접근 방식을 철저한 비밀주의에 입각하여 진행하였고, 그 성과도 크지 않았지만 1980년대 무역 거래 증대와 뒤이은 1990년대 초 관계정상화에 밑거름이 된 것만은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