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강 유역 古代 우물에 대한 試論的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최근 한강 유역에서는 삼국~통일신라시대 우물이 적지 않게 조사되었는데, 주로 백제와 신라 우물이 발굴되었다. 우물의 유형은 목조 우물을 비롯하여 토광 우물, 토광+석조우물, 목조+석조 우물, 석조 우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는 석조 우물이 가장 많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목조+석조 우물은 삼국 모두가 축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백제 우물은 목조 우물뿐만 아니라 목조+석조, 석조 우물 등 다양하고, 신라 우물 중에 목조+석조 우물도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고구려 우물은 남한에서 1기만 조사된 상태이지만, 북한이나 중국에서 조사된 우물을 참고해 본다면, 우물의 축조기법이 백제와 신라에게 영향을 직・간접으로 미쳤을 개연성이 있다. 그리고 경제성 면에서는 목조>목조+석조>석조 우물의...
[학술논문] 물의 권력 게임 : 하이드로 헤게모니와 남북 공유하천의 협력과 갈등
...따라 북한의 일방적 헤게모니 행사가 제한되었고 협력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임진강에서는 남한이 하류 지역에 대한 통제와 군남댐 등 전략적 시설의 기술적 우위, 대체 수자원 확보, 생태 평화 담론을 활용함으로써 북한의 일방적인 헤게모니 행사가 효과적으로 제한되었다. 반면, 북한강에서는 북한은 유량 조절, 기술 격차와 불안정한 수자원 관리 능력, 절대적 영토주권주 담론을 통해 일방적인 헤게모니를 행사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남한은 수도권 상수원의 전략적 중요성과 높은 의존도로 인해 북한의 권력 행사를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본 연구는 남북 공유하천에서의 갈등 양상이 유역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별화된 접근 전략과 비헤게모니 국가의 대응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위논문] 북한 산림경관 생태적 복원모형 개발
...88%는 남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생태적 특징을 나타냈다. 남한의 성공적 조림과 조기녹화 경험을 단순히 북한에 적용하는 것에는 생태적으로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남한에만 나타나는 생태지역은 남해안 상록활엽수림 생태지역, 난·온대 생태지역, 남부 산악 생태지역, 남부 평야 생태지역, 영서 산간 생태지역이었다. 남한과 북한이 공유하는 생태지역 중 한강유역 생태지역이 가장 넓었다. 북한에만 나타나는 생태지역은 9개였다. ANOVA test 결과는 15개 생태지역 간 차별성을 나타낸다(p value 0.000). 남부 산악 생태지역과 영서 중·산간 생태지역은 연평균 강수량과 토양수분 함유량 최대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15개 생태지역은 지역적으로 각기 독특하게 분류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학술논문] 남북 공유하천 갈등과 독일 통합사례
국가간의 경계를 따라 또는 영토를 왕래하며 연속적으로 흐르는 하천을 공유하천 또는 국제하천이라고 한다. 남북간에는 임진강과 북한강이 공유하천으로 상류지역에 각각 황강댐과 임남댐 건설로 인하여 남한 하류에 유량감소, 건천화 및 홍수피해가 발생하면서 남북간의 공유하천을 둘러싼 갈등이 반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유하천 갈등을 통합수자원관리 관점에서 동서독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남북한 공유하천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남북간의 공유하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공유하천관리위원회의 구성, 실효성있는 조약의 체결 및 유역단위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공유하천을 위해 다른 사업과 연계하여 재원부담 및 기술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남북공유하천유역 미래 극한강수량 변화 전망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공동으로 점유하고 있는 남북공유하천유역은 과거부터 하천관리, 홍수조절 등 다양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다. 그러나 협력과 조정에 한계가 있어 유역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협력이 진행되지 못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해 수문현상의 규모와 빈도가 변화하고 있어 공유하천유역의 강수변동성에 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3개 전지구 기후 모델의 RCP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이하 RCP)4.5와 RCP8.5 시나리오를 공유하천유역 인접 11개 관측소에 적용하여 극한강수량 변동성을 규모와 빈도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하천유역의 참조기간(1981-2005) 대비 확률강우량은 RCP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