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공민의 한국관과 한반도 인식 - 한반도의 통일과 북한의 핵개발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에서 패권국가로 등장하고 있는 중국(공민)의 한국관, 한반도 통일 및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한중관계를 전망한 것이다. 먼저 중국공민들의 정체성과 타국관이다. 첫째, 중국공민은 중국의 세계적 영향력(4.68), 정치체제(4.22), 경제발전(4.57), 역사․문화 자산 (4.65) 등 자국에 대한 강한 자부심을 갖고 있다. 둘째, 중국공민은 국가(4.47)에 대한 강한 지지로 다민족 통일체제 (23省 4直轄市 5自治區)를 유지하고 있으며, 省(4.69), 縣(4.66)을 중심으로 다민족 정체성을 강하게 갖고 있다. 셋째, 중국공민들의 타국에 대한 호감은 한국(4.36)과 북한(3.37)이 높은 반면 미국(2.40)과 일본(1.53)에 대해서는 매우...
[학술논문] 한국관광의 협력과 공생의 초협력을 위한 접경지역의 역할 연구
관광한국의 협력과 공생의 초협력을 위한 남북한 경제협력사업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할 남측 접경지역의 기초를 대립과 갈등, 분열이 아닌 초협력에서 찾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인간과 생명체의 본성이 사실은 희생하고 협력하면서 발전해왔다는 사실을 남북한간의 관계에 적용하여 남측 접경지역에 새로운 남북경제협력공간 조성을 제안한 것이다. 이것은 사실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의 시작이 되었다. 첫째, 과거 진행되었던 개성공단의 모델은 공단이 북측에 조성된 관계로 남북관계가 좋을 경우는 관계없지만 정치⋅군사적으로 갈등이 발생했을 때 북측의 일방적 근로자 철수나 남측 기업의 재산 압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는 문제점 때문이다. 둘째, 과거 무역도시가 국가간
[학술논문] 文化大革命 시기(1966-1976) 『人民日報』 보도를 통해 본 중국 정부의 한국 인식
...늘어나는 반면 미 제국주의란 호칭과 관련 기사에서 미국이 등장하는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한국 사회를 ‘인간 지옥’ 또는 ‘철장 없는 감옥’ 등으로 묘사하면서도 朴正熙 정권과 미국에 항거하는 한국 청년학생과 인민에게는 동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결국 문화대혁명 시기 한국 관련 『인민일보』의 보도는 중국의 유엔 가입을 계기로 크게 달라지고 있지만, 미국에 대한 비난과 언급을 자제한 것일 뿐 미국에 종속된 해방시켜야 할 한국이라는 기존 인식은 거의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 정부(인민)의 내면화된 ‘중국-서구의 이원적 세계관’과 ‘대중국-소한국 구조인식’에 기반한 대국주의적 한국관이 표출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