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다문화(이주민) 통합 교육 방향
전체 인구의 3% 이상이 외국인인 한국의 다문화 사회는 급속도로 그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고는 이주민 및 선주민에 대한 다문화 통합 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가야 하는가에 논의의 초점을 두어, 특히 이주민 가운데 언어와 문화는 비슷하지만 북한이탈주민을 다른 이주민들과 마찬가지로 이주민 통합 교육의 대상으로 보아 어떻게 우리사회가 이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통합을 합리적으로 이룰 것인가의 다문화 통합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으로 이주한 후 특별법에 의한 단기간 동안의 지원 및 교육을 받고 자연적으로 한국 시민으로 살아간다. 그 내용은 초기정착금지급제도, 취업지원제도, 교육지원제도, 사회보장지원제도, 거주자보호제도, 주거지원제도, 민간지원 등이다. 북한이탈주민은 한국과 같은
[학술논문]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 신학으로서 통일신학의 길 모색
...제국주의가 지향해 온 민족 개념이 아니라, 식민지 역사 속에서 민족 해방의 과제를 이루어 가는 데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포기할 수 있는 역사가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 본 글은 토착화신학의 역사를 돌아보면서 3 ․ 1운동 이후 민족문제에 대한 인식과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한국에 있는 종교들과의조화로운 관계를 통해서 서구 기독교에서 해방과 한국적 문화적 정체성의 형성했던 역사적 과정을 살핀다. 다른 한편, 본 논문은 한반도의 정치적 양극화 사이―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서 변선환의 민중 해방신학과박순경의 통일신학의 역사적 의의와 미래의 전망에 대해 살핀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통일의 문제를 열린 민족주의의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이정배의 시각을 소개한다. 그는 신채호의 저항 민족주의를 넘어 함석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