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통일 전망, 남북 자모순 통일 방안 등에 대해 다룬다. 제3부는 ‘국어사전’에 관한 글 두 편을 실었는데, 한국의 사전 편찬 현황과 겨레말큰사전, 국어 사전의 가치와 역사, 활용방안이 주된 논의 주제이다. 제4부 ‘국어 정보화’에서는 ISO/IEC 10646-1의 한글 자모, 어문 말뭉치 구축의 회고와 전망, 한국학 정보화의 현황과 전망, 어문정보학회의 과제 등에 대한 발표문들을 모았다. 제5부는 ‘한글 문헌’에 관한 논의로, 한국 언어문학 새 자료의 발굴과 공유, 한글 문헌 편집 및 출판의 발전 과정 등 두 편의 발표문이 수록돼 있다. 마지막 제6부는 ‘어문생활사’에 관한 발표문 세 편으로, 그 주제는 조선시대 어문생활사...
[사회/문화]
...심화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파견에 대한 심층 분석과 그 처우 개선을 위한 법제도적 해법의 모색, 인권과 노동권 보장에 대한 고민은 한반도의 새로운 경제와 노동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 될 것이다.
각 분야에서 탄탄한 전문성을 보유한 집필진의 다각적 연구
이 책의 집필진은 법학, 한국학, 인류학, 역사학, 북한학 등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일가를 이루며 활동해 온 연구자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필자는 탄탄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북한 해외노동자 현상에 대한 실태를 촘촘하게 파악하고 고유의 각도에서 분석했다.
한국을 대표하는 노동법학자 이철수 교수, 코리언 연구로 카자흐스탄·연해주 등지에서 오랜 현지...
[학술논문] 헝가리 한반도사 연구 시론: 한반도사 관련 출판물과 한국사 교육을 중심으로
본고의 목적은 헝가리에서 한반도사 관련 서적 출판 현황과 한국사 교육 현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이는 헝가리 한국학 발전을 위한 기초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올해로 26주년을 맞이한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수립은 서유럽 국가들과의 외교 수립 시기에 비해 많이 늦은 감이 있다. 이미 조선시대에 양국 간 공식 조약을 체결하고도 장기간 교류가 없었던 것은 근대에는 원거리에 위치한 지리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으나 현대에 들어서는 양국의 정치적 요인이 헝가리 국내 정세와 맞물린 데에 기인한다. 이러한 연유로 그 동안 헝가리에 소개된 한반도사 출판물의 역사는 비교적 짧으며 헝가리와 남북한의 시대적, 정치적 영향을 받은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사에 관한 기존 논의는 일천하다고 할 수 있다. 근대 초 헝가리 인들의 한반도 방문기와...
[학술논문] 김일출의 학술활동과 역사연구
金一出은 일제하 해방시기를 거쳐 북한에서 활동한 지식인, 한국학 연구자이다. 그는 연희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해방후에는 서울대학 사학과 교수, 북한에서는 고고학연구소 연구사를 맡으면서 역사학회를 조직하는 등 열정적인 학술 활동을 전개했다. 또한 민족 문화와 동양 사상 관련 논문을 쓰고, 『신동양사』와 『이웃 나라의 생활』을 共著하였으며, 毛澤東의 『新民主主義論』과 陶希星의 『中國封建社會史』를 번역하였다. 북한에서는 『조선민속탈놀이연구』를 저술하였다. 한국문화, 동양사, 민속학 등 한국학 전반에 걸친 시론과 논저로 한국 근대 학술의 성립에 노력했던 것이다. 해방정국기에 김일출은 여운형의 근로인민당에 참여하였고, 김기림⋅이상백 등과 신문화연구소를 창립하고 『신문화』를 간행하였다. 해방 후 세계사적 변화...
[학술논문] 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 동향 및 방향 - 중ㆍ동유럽에서의 한국학 연구(CEESOK)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급변하는 학문 세계에서 한국학 연구의 내용과 방향을 점검하고자 유럽 내 한국학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100년의 역사가 넘는 유럽 내 한국학 연구 중에서 유럽한국학회(AKSE) 외 최근 중․동유럽 지역 연구자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고 있는 중․동유럽한국학회(CEESOK)의 역사와 활동 내용, 그 성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중․동유럽한국학회는 서유럽 중심의 한국학 연구 풍토에서 탈피해 중․동유럽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적 전통과 학문적 색깔을 지키면서 공산주의 시절부터 자생적으로 행해 온 한국학 연구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2003년에 결성된 후 2016년 현재 매년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고, 독자적인 학술지를 국내 온라인상에 발표함으로써 국내 한국학 연구자와의 소통과 학문적 교류의 장을...
[학술논문]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연구가 발표되었다. 경제지리 분야에서는 북한의 지역개발과 통일 이후의 남·북한 경제 통합을 다룬 논문들이, 사회·문화지리 분야에서는 탈북민, 지명, 금강산 관광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에 대한 접근시각은 지역연구와 통일의대상으로 보는 시각이 중첩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통일국토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한반도를 단일 공간으로 보았던 전통적인 지리학의 시각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일 이후 남·북한 국토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북한 지역에 대한 역사지리학적인 연구와, 분단의 상징인 DMZ를 대상으로 과거 생활공간에 대한 문헌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리학은 통일 이후 새로운 한국학의 중심에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동유럽에서의 한국학 교육 현황 (1) - 폴란드의 대학을 중심으로
이 글의 목적은 현재 폴란드의 대학에서 한국학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있다. 세부적인 논점은 한국학과의 설립 과정과 현황, 커리큘럼의 실제와 교재 등이다. 논의 대상은 현재 한국학 전공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바르샤바대학교 (University of Warsaw), 아담미츠키에비츠대학교(University of Adam Mickiewicz), 야길론스키대학교(University of Jagiellonian), 브로와초프대학교(University of Wrocław)이다. 바르샤바 대학교의 한국학과는 폴란드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953년부터 ‘조선어’ 강의를 시작하였고 1983년에 한국어문학 전공과정을 개설하였다. 1994년에는 박사과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