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
55년 전, 북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없이 막연한 자신감과 희망만을 가졌던 우리 정부는 갑작스런 전쟁에 무너져 내렸고 결국 우리 민족은 한반도가 초토화되는 쓰라린 아픔을 겪어야 한다. 반세기가 흐른 지금, 한반도는 다시 한번 위기를 맞고 있다. 점증하는 북핵문제와 북한인권문제 등으로 남북한 당사자는 물론 미국, 중국, 일본 등 주변 열강들의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과연 우리 정부는 복잡하게 얽혀 있는 북핵문제, 북한인권문제 나아가 한반도의 통일문제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지고 있고 그 해결책은 있는가? 현재 우리 정부의 통일정책은 북한에 대한 실증적 분석 없이 막연한 민족감정을 기반한 측면이 강한다. 이런 현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과 함께 정면으로...
[정치/군사]
‘남북한과 열강의 지정학 게임, 그 30년의 기록’
〈코리아체스판〉 2권이 발매를 시작했다.
미소냉전 이후 탈냉전기였던 노태우. 김영삼 정부 초기를 다룬 1권에 이어, 2권은 미중 신냉전 초입인 95,96,97년의 정세와 함께 30여년 후 현재의 모습을 동시에 담았다. 김영삼 정부 후반 3년이 대소냉전에서 승리한 미국의 냉전 전사들이 중국과의 신냉전 초석을 다진 시기라면, 현재는 대중 냉전을 넘어 언제 충돌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시기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가닥이 잡히고 미국 대선이 끝난 다음 세계는 과연 무엇을 목도할 것인가.
날로 긴장의 수위를 높여가는 대만해협의 화약고는 과연 언제쯤 터질 것인가.
[학술논문] 신 냉전기 주변강국의 한반도 정책
한반도의 통일은 우리 민족의 영원한 과제이다. 지난 번 현대공법의 이론과 판례동향에서는 일반적인 신냉전상황과 한반도통일, 동북아시아의 평화문제 등을 간단히 언급하고 미국의 한반도정책을 연구하였다. 이것은 그 속편으로서 일본과 중국, 러시아의 한반도정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본은 한국을 강점하여 역사문제를 야기 시켰을 뿐만 아니라 남북분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 1965년의 한일기본조약의 체결로 안보관계와 경제관계에서는 긴밀한 협조를 하여 왔다. 최근의 아베 정권의 등장을 계기로 일본이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도모하는 듯하여 긴장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일본은 한반도통일정책에 대해서 강력한 통일강국의 출현을 원치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적극적 개입은 삼가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궐기로 미중간의 양극체제가...
[학위논문] 지정학으로 본 러시아제국의 對한반도정책(1884-1904) : 팽창원인과 실패과정을 중심으로
...이유는 한반도보다 만주지역을 우선시였기 때문이다. 만주점령이후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은 감소한 상태였으나 단독적으로 무리한 팽창정책을 추진하면서 일본과 해양국가들에게 봉쇄당한 것이다.
지정학 이론을 통해 19세기 당시의 극동과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제국의 정책을 살펴본 본 논문은 한반도를 위시한 열강들의 경쟁과 견제의 역사를 돌아봄으로써, 그 속에 숨어 있는 지정학적 세계관이 21세기 한반도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오랜 세월동안 지속되어 오고 있는 러시아의 지정학적 인식은 對한반도 정책의 기본적 틀로써 오늘날 우리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정학적 관점으로 러시아와 극동, 그리고 그 안의 한반도 정책을 살펴 본 논문은 현재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을 가늠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