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의학의 성배 찾기 ― 남한에서 봉한학의 재탄생
...과학자 사회의 구조화된 편견을 극복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나는 이 과정에서 봉한연구가 지속되는 주요 이유로 경락의 시각화의 문화적, 역사적 중요성을 강조한다. 봉한연구의 재탄생은 실험적, 문화적, 역사적, 정치적 요소들의 상호 작용의 과정이며 이는 모순된 과학적, 사회적 효과를 낳는다. 이론적으로 이 논문은 봉한연구를 과학사회학에서의 시각화 연구와 한의학의 과학화 연구에 위치시킨다. 이러한 이론적 시각은 봉한연구를 사회적, 기술적 성취로 해석하는 동시에 과학자 사회의 인정의 정치를 동반하는 과정임을 이해케 한다. 경험적으로 이 논문은 봉한연구에 대한 과학 논문, 심층 면접, 보도 자료, 정부 보고서 등에 의존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첫째, 봉한학의 기원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196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