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항공승무원의 보안인식과 항공보안요원의 위기대응능력 조사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항공보안 실패 사례는 창랑호 납치사건(1958), KAL YS-11 납치사건 (1969), KAL F-27 납치미수사건 (1971), KAL B727 납치미수사건(1985), KAL KE858기 공중폭파 사건(1987), KAL B747 납치미수 사건(1988), KAL 388 납치미수 사건(1993)등이 있다. 이에우리정부는 1969년 항공기 납북사건 이후 사복경찰관과 함께 항공보안요원에게 무기 휴대를 허용하게 하였으며, 1970년부터는 항공보안요원을 청원경찰로 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이후 2008년부터 항공기내에 보안요원이 탑승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지만 이것은 객실승무원중보안승무원을 지정하는 개념으로 현재 항공기내에서 얼마나 실효적인 역할과 효과가 있는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학술논문] 항공테러 대비 공항운영자 및 경찰의 역량강화 방안 연구 - 항공 보안검색을 중심으로 -
...항공기를 납치하여 미국 뉴욕 맨해튼에 있는 쌍둥이 세계무역센터 빌딩 등 3곳에 충돌시켜 많은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한 사건과 1958.2.26 북한이 우리 민간 항공기를 납치 및폭파한 4건의 사건과 해외에서의 민간 항공기 납치 및 폭파 사건 6건 모두 완벽 하지 못한 항공 보안검색의 실패가 원인이다. 국내·외적으로 항공 교통의 수요가 계속 확대 되면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국가 및 공공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항공 보안검색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항공기 테러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지상 최대의 방법은 항공기 탑승객 및 항공화물에 대한 완벽한 보안검색이다. 따라서 공항운영자 및 항공운송사업자가 완벽한 보안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민간경비업체의 보안검색요원(경비원)에 대한 처우개선 등 조직...
[학술논문]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 심리전에 대비한 항공보안경비원의 역할 제고
...측으로 날려 보내는 오물풍선 심리전 작전을 시작하였다.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로 불특정 민간 차량 및 집 파손, 산불 발생, 항공기 이착륙지연 등의 물질적ㆍ심리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우리 군과 경찰 전문가들은 떨어진 풍선을 확인ㆍ분석한 후 수거하는 사후 대책을 실행하고 있지만, 경찰 등 공경비가 활동하는 지역 외의 사각지대에 대한 대응책은 제대로 마련되지 않고 있다. 특히, 공항 경비구역 내에 떨어지는 전단이나 오물풍선은 주야로 근무하는 항공보안경비원이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지만, 항공보안경비원의 역할에 대한 대책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서, 이글은 공항의 경비구역에 떨어지는 전단과 오물풍선에 대한 신고나 전파, 수거 등에 대해 항공보안경비원의 초동 조치와 관련한 대책을 제언하였다.
[학술논문] 남북항공협력에 대한 연구- 동·서해상 직항로 신설 노선 제안을 중심으로
...성격을 지닌다. 본 연구는 북한의 항공정책 및 인프라, 우리 정부의 남북항공협력 정책, 이스타항공의 남북 직항로 운항 사례, 민간 조종사의 고도로 숙련된 실무경험을 종합해 남북항공협력을 위해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현실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남북 동·서해상에서 현실 가능한 신설 항로를 제안하였다. 동해상으로는 일본 비행정보구역을 통과하지 않는 인천-삼지연, 인천-원산 노선을, 서해상으로는 중국 비행정보구역을 통과하지 않는 평양-인천, 인천-평양 노선을 제안하였다. 둘째, 국제사회의 대북경제제재를 유념하고 북한의 열악한 항공 보안 및 인프라 개선, 교육을 위해 ICAO와 IATA와 같은 항공 관련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지속하며, 남북협력 과정에서 숙련된 민간 조종사들의 활용을 제안하였다.